‘밀집도 파악’ ‘화재 경고’...지능형 CCTV 어디까지 왔나

지난 18일 오후 경기도 오산시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에서 관제요원이 길가에 쓰러진 남성(적색 직사각형)을 확인한 뒤 경찰에 출동을 요청하고 있다. 실제 상황 아닌 시연장면이다. 사진 행정안전부

지난 18일 오후 경기도 오산시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에서 관제요원이 길가에 쓰러진 남성(적색 직사각형)을 확인한 뒤 경찰에 출동을 요청하고 있다. 실제 상황 아닌 시연장면이다. 사진 행정안전부

지난 18일 오후 경기도 오산시 수청동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과 이권재 오산시장 등이 지켜보는 가운데 지능형 폐쇄회로(CC)TV 작동을 시연했다. CCTV 초점이 공원 산책로에 쓰러진 남성을 적색 직사각형으로 표시하자 센터 내 대형모니터 화면 좌측 상단엔 ‘쓰러짐’ 경고가 떴다. 관제요원이 CCTV와 연결된 마이크를 켜고 이 남성에게 “괜찮냐”고 물었다. 반응이 없자 곧바로 “환자로 의심되는 남성이 OO공원에 쓰러져 있다”며 경찰과 소방에 출동을 요청했다.

오산시에 설치된 지능형 폐쇄회로TV(CCTV) 모습. 200만 화소 화질의 렌즈가 360도 회전한다. 심야시간대 인적이 드문 곳을 지나면 CCTV가 '배회'로 인식한다. 사진 행정안전부

오산시에 설치된 지능형 폐쇄회로TV(CCTV) 모습. 200만 화소 화질의 렌즈가 360도 회전한다. 심야시간대 인적이 드문 곳을 지나면 CCTV가 '배회'로 인식한다. 사진 행정안전부

오산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 가보니

오산시 전역에는 200만 화소인 지능형 CCTV가 2500대 설치돼 있다. 오산시 오색시장 통행로 쪽을 비추는 CCTV는 인파가 1㎡당 5명을 넘지 않는지 살피고, 다른 CCTV는 연기가 피어오르는 지역을 찾아 통합운영센터에 화재위험을 알렸다. 지나가는 사람 성별 구분은 물론 휠체어나 유모차·지팡이·복장 등도 인식해 실종자 찾기에도 활용 중이다. 센터엔 관제 인력 16명이 4조 3교대로 근무하며 CCTV 전송화면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사진 왼쪽)이 지난 18일 오후 경기도 오산시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에서 과학적 재난안전관리 추진 상황 정책현장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 행정안전부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사진 왼쪽)이 지난 18일 오후 경기도 오산시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에서 과학적 재난안전관리 추진 상황 정책현장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 행정안전부

정부 "2027년까지 지능형 CCTV 전환" 

행정안전부는 22일 “지자체 관할 CCTV를 2027년까지 모두 지능형으로 교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지자체 관할 CCTV는 총 53만대이며 이중 13만대(24%)가 지능형이다. 또 CCTV 운영상황을 경찰·소방과 공유해 이태원 참사 같은 사회적 재난 등을 막을 계획이다. 범죄 예방에도 활용할 수 있다. 오산에선 음주운전이나 차량털이가 의심되는 남성이 센터에 감지된 뒤 경찰과 공조해 붙잡은 사례가 있다. 인적이 드문 시간·장소에서 지능형 CCTV가 사람의 걷는 모습 등을 감지하면 센터 대형모니터 화면에 ‘배회’라는 문구가 뜬다. 이를 본 관제 센터 요원들은 경찰에 신고했다. 김 본부장은 “지능형 CCTV로 교체하는 지역은 (오산시 사례가) 참고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개인정보 침해문제 해결은 

하지만 개인정보 침해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행안부 관계자는 “재난 예방 차원에서 최소한의 경우로 모니터링할 때는 크게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라면서도 “재난안전법을 고쳐 재난 예방 단계에서 CCTV를 활용할 근거를 담을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