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중앙포토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 비공개 화상 최고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의결했다고 밝혔다. 특위는 당내 국회의원 및 당협위원장, 외부 전문가 등 총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됐다.
원내에선 하 의원과 류성걸(대구 동구갑)·이만희(영천청도)·서범수(울산 울주군) 의원 등 4명이 위원으로 참여하고, 원외에선 변호사 출신인 홍종기 경기 수원시정 당협위원장, 민경우 대안연대 공동대표, 김혜준 사단법인 함께하는아버지들 이사장, 김익환 열린북한방송 대표, 김소양 전 서울시의원 등 5명이 참여한다. 향후 특위 활동 과정에서 당·내외 시민단체 전문가 등 추가 인선이 있을 예정이라고 당 관계자는 설명했다.
국민의힘 측은 "특위는 시민단체가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적 양심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도와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5일 국민의힘은 최근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을 지원해 온 시민단체를 둘러싸고 논란이 나온 것을 계기로 당 산하에 '시민단체 정상화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기로 한 바 있다. 앞서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징용 판결금 2억원가량을 받은 피해자 유족에게 11년 전 약정을 근거로 판결금의 20%를 요구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애초에 TF 조직으로 출범할 예정이었지만, 활동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김기현 대표 지시로 특별위원회로 구성됐다. 김 대표는 지난 25일 페이스북에 "시민단체 이름으로 국가보조금을 빼먹어 도둑질하고 피해자에게 돌아갈 보상금을 빼먹는 짓이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다"며 "문재인 정권 내내 자행된 시민단체의 특권과 반칙을 발본색원해 악의 뿌리를 없애겠다"고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