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 올해 세계경장률 1.7→2.1% 상향..."전년보다는 둔화"

세계은행(WB)이 6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2.1%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1월 WB가 전망한 올해 경제 성장률 1.7%에서 0.4%포인트 상향 조정된 수치이지만 지난해보다는 1%포인트 하락한 값이다. 

아제이 방가 WB 총재. 로이터=연합뉴

아제이 방가 WB 총재. 로이터=연합뉴

 
WB는 이날 “전 세계 성장은 급격히 둔화하고, 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EMDE)의 재정 스트레스 위험이 심화하고 있다”며 “중국을 제외한 EMDE 성장률은 지난해 4.1%에서 올해 2.9%로 둔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제이 방가 WB 총재는 “빈곤을 줄이고 번영을 확산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고용을 통한 것”이라며 “성장 둔화는 일자리 창출을 더 어렵게 만든다”고 말했다. 

이어 “성장 예측이 숙명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는 게 중요하다”며 “흐름을 바꿀 기회가 있지만 우리가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WB는 특히 “대부분의 EMDE 국가가 점점 더 제한적인 글로벌 신용 상황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상태”라며 “EMDE 4개국 중 한 곳은 사실상 채권 시장에 대한 접근을 상실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금융) 압박은 낮은 신용도를 가져 근본적으로 취약성을 지닌 신흥 개도국에 치명적”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선진국의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2.6%에서 올해 0.7%로 둔화할 전망이다. WB는 2024년에도 이들 국가가 약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봤다. 미국은 올해 1.1% 성장한 후 2024년에 0.8%로 둔화할 것으로 예측됐으며, 이는 주로 지난 1년 반 동안에 걸친 금리 급등 여파 때문이라고 WB는 분석했다. 

유로 지역의 경우 지난해 3.5%에서 올해 0.4%로 경제 성장률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WB는 “긴축 통화정책과 에너지 가격 인상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