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일 열린 한국과 중국의 아시안게임 남자 축구 8강전 당시, 국내 포털 사이트 다음에서 중국팀 응원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91%) 나타나자 퍼진 논란이다. 인터넷상의 각종 추천·투표가 ‘여론의 풍향계’로서 신뢰를 얻을 수 있겠는가 하는 회의와 함께, 포털의 관리 부실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다음은 “악용 사례 때문에 불필요한 오해를 주고 있어 당분간 서비스를 중단한다”며 급히 진화에 나섰다.
무슨 일이야
그런데 다음 스포츠에서 중국 대표팀이 받은 응원 클릭은 1983만 회(91%)로, 한국 팀이 받은 횟수(208만 회, 9%)를 압도했다. 이와 반대로, 네이버 스포츠에서는 한국팀이 565만 회(94%), 중국 팀이 37만 회(6%)의 응원을 받았다.
이 결과가 화제가 되자 2일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은 “한국 포털인데 왜 다음에서 중국 응원을 더 많이 하냐”며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여당을 중심으로 ‘차이나 게이트’ 의혹이 다시 불거지는 모양새다. 차이나 게이트란 중국 이용자들이 국내 포털 뉴스 댓글에 추천에 개입하는 등 국내 여론에 영향을 미치려 한다는 의혹이다.

1일 열린 아시안게임 한-중 축구 경기에 대한 다음 스포츠의 '클릭 응원' 결과. 다음 캡처

1일 열린 아시안게임 한-중 축구 경기에 대한 네이버 스포츠의 '터치 응원' 결과. 네이버 캡처
왜 이런 현상이
① 네이버 ‘로그인 필수’, 다음 ‘로그인 없이도’
네이버 스포츠에서 ‘터치 응원’을 하려면 먼저 네이버 아이디(ID)로 로그인을 해야 하며, 응원 댓글을 달려면 본인 확인도 거쳐야 한다. 네이버는 뉴스 댓글의 ‘본인확인제’를 지난해 말 스포츠 댓글에도 적용했다. 네이버가 직접 회원 주민등록번호를 확인·수집하는 대신, 통신사나 아이핀(i-PIN) 제공업체 같은 외부 기관을 통해 댓글 작성자가 회원 본인임을 인증하는 제도다. 네이버 측은 “자동화 프로그램(매크로)으로 불법 스포츠 도박 댓글이 달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했다”고 밝혔다.
다음도 응원 댓글은 로그인 회원만 작성할 수 있지만, ‘클릭 응원’은 로그인이 필요 없다. 카카오 관계자는 “누구나 가볍게 응원에 참여할 수 있는 기능이다 보니 로그인 절차를 따로 넣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② 1인당 무제한 응원 가능
네이버와 다음 모두, 스포츠 응원에 1인당 횟수 제한을 두지 않았다. 마음만 먹으면 소수로도 응원 여론을 바꿀 수 있는 구조다.
특히 다음은 로그인 절차가 없어, 매크로 활용 같은 조작에 무방비였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축구 한중전에서 다음의 응원 클릭 수는 2100만 회로, 네이버 참여(600만회)의 3배 이상이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내가 매크로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다음에서 응원 횟수를 조작했다’라고 주장하는 익명 글도 올라오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중앙일보에 “네이버는 스포츠 응원에 로그인을 적용하고 어뷰징(부정 사용) 패턴을 방어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음스포츠는 2일 오후 “클릭응원은 누구나 손쉽게 응원할 수 있도록 클릭 횟수 제한 없이 제공해 온 기능인데 최근 취지를 악용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불필요한 오해를 주고 있어 당분간 서비스가 중단 됨을 알려드린다”고 공지했다. 현재 다음 스포츠의 아시안게임 경기 사이트 등에서는 클릭 응원 서비스가 사라졌다.
뉴스 댓글 관리했지만
이렇듯 양대 포털이 뉴스 댓글은 관리했지만, 스포츠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댓글·추천 등의 관리를 소홀히 한 모양새다. 포털의 입장에서 아시안게임 같은 스포츠 행사는 트래픽을 올릴 대목이지만, 양사 모두 영상 중계권은 없다. 따라서 화제를 만들고 사용자 참여를 늘리기 위해 문자 중계, 클릭 응원, 오픈 채팅 등을 운영하고 있다.

1일 중국 항저우 황룽 스포츠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한민국과 중국의 축구 8강전 시작에 앞서 대한민국 선수들이 애국가를 제창하고 있다. 사진 뉴스1
이걸 알아야
뉴스 점유율에서는 네이버와 격차가 크고, 구글의 추격을 받는 처지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수용자 조사에 따르면 네이버·다음·구글의 뉴스 점유율은 각각 66.7%, 18.8%, 10.7%였다.
카카오는 지난 5월 다음을 사내독립기업(CIC)으로 분리했다. “신속하고 독자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조직체계를 확립해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