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부산국제영화제(BIFF)에 참석한 영화 '녹야' 감독과 주연배우들이 기자회견을 부산 해운대구 KNN시어터에서 가졌다. 영화 '녹야'의 출연 배우 판빙빙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허름한 수산물창고 마약 밀거래 현장에서 서툰 한국말로 재촉하는 중국 여인. 5일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갈라 프레젠테이션 부문에 공개된 영화 ‘녹야’(감독 한슈아이)의 주인공 진샤다. 홍콩·중국 국적 영화지만, 대사의 90% 이상이 한국말, 촬영도 서울 안팎에서 했다.
인천항 출입국 검색대 직원이란 설정의 진샤 역은 중국 톱배우 판빙빙(42)이 맡았다. 한국 배우 이주영이 화교 애인을 둔 마약 운반책 ‘초록머리’ 여자 역을 맡아, 한국인 남편의 폭력과 성폭행에 시달리던 진샤의 탈출을 거든다.
중국 드라마 ‘황제의 딸’(1998)로 스타덤에 오른 후 지난해 할리우드 첩보영화 ‘355’까지 외향적이고 당당한 역할을 도맡던 판빙빙이 180도 변신했다. 영주권을 얻기 위한 3500만원이 없어 남편에게 매여 사는 진샤의 핏기 없는 얼굴에서 한때 전 세계 고소득 여성 배우 4위(2015, 포브스)에 오르며 칸 국제영화제 심사위원(2017) 등 레드카펫을 누빈 판빙빙의 화려함은 찾아볼 수 없었다.
한국어·동성애 연기 도전한 판빙빙

중국 배우 판빙빙이 5일 주연 영화 '녹야' 상영 전날 오후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 열린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식 레드카펫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기에 대한 간절함 때문일까. ‘녹야’에서 판빙빙은 첫 한국말 대사, 동성애 연기까지 도전했다. 상대역 이주영도 그가 직접 손편지를 써 캐스팅했다.

영화 '녹야'는 홍콩, 중국 제작 국적 영화지만, 한국에서 95% 이상 한국어 대사로 촬영했다. 중국 한슈아이 감독이 중국 배우 판빙빙(왼쪽)과 함께 이주영(오른쪽) 등 한국 배우들과 호흡 맞췄다. 사진 부산국제영화제
감독 "판빙빙과 산둥 출신이라 한국 친숙"

배우 판빙빙(왼쪽부터)과 한슈아이 감독, 이주영이 5일 부산 해운대구 KNN시어터에서 열린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녹야’(감독 한슈아이) 기자회견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3.10.5/뉴스1
이주영은 한슈아이 감독이 한국 독립영화 ‘야구소녀’(2019)에서 그의 솔직한 웃음에 반하며 합류했다. 판빙빙은 “주영씨와 열 살 넘게 차이 나는 걸 알게 된 뒤 여배우로서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농담하며 “주영씨의 귀여우면서 진정성 있는 모습이 우리 영화에 불꽃을 일으킬 거라 생각해 손편지를 쓴 '달달한' 사정이 있다”고 했다. 이날도 “사랑해” “워 아이 니(我愛你)” “중국에 놀러오라” 등 한국말과 중국말을 섞어가며 이주영에게 애정 공세를 펼쳤다.
판빙빙 이주영에 "워 아이 니" 애정공세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 두 번째 날인 5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KNN시어터에서 열린 영화 '녹야' 기자회견에서 배우 이주영(왼쪽)과 배우 판빙빙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연합뉴스
판빙빙은 “코로나19 팬데믹이 극심하던 시기 섭외한 배우가 발병하는 등 어려움 속에서 촬영했다”면서 “여성으로 이뤄진 제작진이 똘똘 뭉쳐 극복했다”고 했다. “어쩌면 여성만이 여성을 진정으로 돕고 이해하고 잘 알 수 있다는 생각도 해봤다”면서다.
판빙빙이 한국 작품에 출연한 건 이번이 세 번째다. 전쟁영화 ‘마이웨이’(2011)의 전사 쉬라이 역, JTBC 드라마 ‘인사이더’(2022)의 삼합회 관계자 역할에 이어서다. 이주영은 ‘녹야’ 역시 한‧중 합작 의미가 크다고 짚었다. “한국과 중국이 한국 로케이션으로 합작할 수 있다는 의미가 크다. 스태프도 한국과 중국 반반이었다”면서 “합작이 더 많아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출연했다”고 말했다.

영화 '녹야'의 배우 등이 4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 열린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식 레드카펫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