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훈 오늘의집 O2O사업본부장. 오늘의집.
오늘의집 O2O사업본부는 어떤 일을 하나.
오늘의집의 비전은 이용자가 더 나은 공간에서 더 나은 일상을 살게 하는 것입니다. 이 비전을 이루기 위해 O2O사업본부는 이용자가 살아가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모든 활동을 아우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늘의집의 O2O서비스들. 오늘의집.
지금까지 O2O사업으로 거둔 성과는.
이용자들의 리뷰도 수만 건에 달합니다. 다른 플랫폼에선 리뷰를 작성하면 경제적 보상도 해주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의집 이용자는 경제적인 보상으로 리뷰를 작성하는 편은 아닙니다. 자신이 거주하는 공간을 노출해야 하기 때문에 정말 자발적으로 리뷰를 정말 쓰고 싶은 이용자만 리뷰를 쓰는 거죠. 질 좋은 리뷰가 쌓이다 보니 등록 업체에게도 좋은 점이 많습니다. 업체가 리뷰를 특정 임계치, 10개 이상 확보하면 성장 속도와 계약전환율이 빨라집니다. 이용자들이 기존 리뷰를 믿고 바로 계약하는 거죠. 업체와 이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비용도 적어집니다. 이용자는 기존 리뷰와 콘텐트를 바탕으로 업체에게 자신의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전할 수 있는 거죠. 리뷰를 많이 확보한 우수 등록 업체들은 인테리어 공사 건이 내년까지 꽉 차있습니다.
O2O서비스 경쟁사와의 차별화 지점은.
첫번째가 체계적인 업체 관리입니다. 등록 업체의 재무 안정성, 사업자 등록 기간, 직원 수, 실물 사무실 유무 등 정량적 요소를 철저히 평가합니다. 이를 통과해 오늘의집에 입점하더라도 이용자들이 만족할만한 시공 사례, 리뷰 등이 준비돼야 더 많은 이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쓰리아웃제도도 운영합니다. 등록 업체의 잘못이 확실한 건이 세 번 반복되면 오늘의집에서 퇴출하는 제도입니다.
두 번째론 책임 보장 서비스를 만들었습니다. 이용자와 업체 사이에 분쟁이 벌어질 때가 있습니다. 경제적으로도 법적으로도 고통스러운 과정으로 이어지죠. 이때 오늘의집은 이용자 대신 업체와 분쟁 조정에 나섭니다. 조정이 안 되면 제3의 업체를 구해 오늘의집이 비용을 부담해 이용자의 시공을 마무리해 드립니다. 보증보험도 오늘의집이 비용을 부담해 가입하고 있죠. 일반적인 오픈마켓에선 중개자가 책임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고객을 최우선에 두어 이런 결정을 내리게 된 거죠.
마지막으론 투명한 견적 및 계약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일반인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표준 견적서와 표준 계약서를 만들었습니다. 기존 인테리어 시공에는 자재비나 디자인비 등 일반인이 정확히 알 수 없는 비용들이 많았습니다. 이를 투명하고 객관적인 기준으로 제안하고 청구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한 겁니다.
서비스를 개선할 땐 어떤 데이터를 참고하나.
예를 들어 인테리어 시공 서비스에선 KPI가 신청자 수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러면 1차 영향 지표는 방문 대비 상담 신청 전환율, 상담 신청 대비 상담 완료율, 상담 만족도, 리뷰 만족도 등이 될 수 있습니다.
각 서비스의 담당자들은 KPI와 1·2차 영향 지표의 변화량을 꼼꼼하게 살피고 있습니다. 10주 평균, 나아가 10주 평균 변화량의 평균까지 모니터링하죠. 지표에 큰 변화가 생기면 그 이유를 찾기 위해 철저한 분석(Deep Dive)에 나섭니다. 분석을 토대로 해결책을 마련해 실행까지 완수하는 걸 프로세스로 정립했죠. 서비스 담당자들은 기본적으로 데이터 문해력을 갖추고 프로그래밍 언어까지 구사하고 있습니다.
O2O 서비스를 운영할 때, 콘텐트나 커머스 쪽의 데이터도 활용하나.
오늘의집의 여러 서비스들은 어떻게 시너지를 내고 있나.
목적형 이용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얻어 구매를 완료했더라도 추가로 다른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형 가전을 구매했다면 이사 서비스를 추천하고, 나아가 입주 청소 서비스까지 연결해주는 거죠. 반대로 인테리어 시공을 마친 이용자에겐 리모델링한 집에 새로 들여놓을 대형 가전을 추천하는 겁니다. 추가로 추천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벽을 낮추기 위해 한 번의 클릭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도록 했죠.

인테리어 시공 사례에 태그돼 있는 상품 정보들. 사진 오늘의집.
콘텐트와 커머스가 긴밀히 연결되는 오늘의집의 강점을 O2O서비스에서도 살리고 있습니다. 인테리어 시공 사례도 콘텐트로 만들고 있는데요. 이 콘텐트 내부에 있는 상품은 물론 인테리어 자재까지 모두 키워드로 분류할 수 있는 태그가 달려있습니다. 태그 개수에 따라 순위 정보까지 제공합니다. 인기 순위로 손쉽게 자재와 상품을 발견하고, 실제로 시공된 모습까지 확인한 뒤 인테리어 업체와 상담을 진행하면 훨씬 수월하게 원하는 대로 인테리어 할 수 있는 겁니다.
기존에 없던 서비스를 내놓을 수 있던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