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국회의장 사퇴 촉구 및 의회 폭거 규탄대회’에 참석해 손준성·이정섭 검사 탄핵안의 본회의 통과에 항의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2312/02/37b08248-73c5-4154-a53c-b6d226bae9e4.jpg)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국회의장 사퇴 촉구 및 의회 폭거 규탄대회’에 참석해 손준성·이정섭 검사 탄핵안의 본회의 통과에 항의하고 있다. [뉴스1]
이 위원장의 이날 사퇴는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임시 국무회의를 주재하던 한덕수 총리도 사의 표명 사실을 몰랐을 정도였다. 여권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이 위원장은 전날 늦은 오후 윤 대통령에게 “방통위 업무 마비에 대한 부담을 드릴 수 없다”며 구두로 사의를 표명했다. 이 위원장 탄핵소추안 통과를 벼르던 민주당은 허를 찔렸다.
![이날 같은 장소에서 열린 ‘대통령 거부권 남발 규탄 및 민생법안 처리 촉구 대회’에 참석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2312/02/99375c25-a7af-4839-96f3-5192a57d0a80.jpg)
이날 같은 장소에서 열린 ‘대통령 거부권 남발 규탄 및 민생법안 처리 촉구 대회’에 참석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이 위원장 사퇴에 관련해 정치권 일각에선 이 위원장과 대통령실 사이에 사전 교감이 있었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탄핵안이 통과될 경우 헌법재판소가 결론을 내릴 때까지 최장 6개월간 이 위원장 직무가 정지되기 때문이다. 기관장 대행 체제로 운영할 수 있는 다른 부처와 달리 합의제 기구인 방통위는 현재 구조상 위원장이 직무정지가 될 경우 이상인 부위원장 1인 체제가 되면서 의결 기능이 사실상 마비된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지상파·종편 방송 인허가와 재승인 문제 등 산적한 현안이 일시에 중단되는 걸 막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한 고육책”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이 취임 95일 만에 전격 사퇴하면서 이 부위원장이 방통위원장 직무대행을 맡게 됐다. 대통령실은 방통위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임 인선을 서두를 방침이다. 당장 다음주 발표가 예상되는 개각 명단에 새 방통위원장 후보가 포함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새 방통위원장 후보로는 이 부위원장이 우선 거론된다. 여권 내부에서도 “가장 빨리 방통위를 재가동할 수 있는 카드”로 평가받고 있다. 국민의힘이 여당 몫 방통위 상임위원으로 내정한 이진숙 전 대전MBC 사장도 후보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