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특수는 이제 어렵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근거

반도체 경기 개선 등의 영향으로 수출 회복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한국은행이 4일 전망했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최근 수출 개선 흐름 점검·향후 지속가능성 평가’ 보고서에서 반도체 수출 개선이 전체 수출의 동력이 될 것이라며 이처럼 예상했다.

지난 1일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작업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지난 1일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작업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한은에 따르면 인공지능(AI) 관련 수요 증가로 고대역·고용량 반도체 수출이 늘어나는 가운데, 내년 하반기로 갈수록 그간 부진했던 PC·스마트폰 수요도 점차 살아날 전망이다. 

과거 회복기에도 반도체 수출이 평균 약 28개월 동안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수출과 성장세 회복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했다.

 
신(新)성장 산업 관련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의 투자 확대도 한국의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현재 미국과 EU는 반도체 등 핵심 품목의 공급망 복원 강화, 첨단 산업 생태계 구축 등을 위한 산업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국가가 자국에서 AI 기술 발전(반도체), 친환경 전환(전기차·배터리 등) 등을 위한 투자를 확충하면서 한국의 수출도 함께 증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세계적인 고금리가 지속하고 내구재를 포함한 재화 소비 회복이 더딘 점은 수출의 제약 요인이다.

한은은 경기적 요인 외에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과 같은 세계 교역 환경 변화도 한국의 수출 구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은 고금리 지속으로 소비가 점차 둔화하겠지만, 투자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향후 대미(對美) 수출은 양호할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은 부동산 경기 부진이 이어지는 데다 산업구조 고도화로 자급률도 상승하고 있어 대중 수출이 과거와 같이 개선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다.

이날 한은이 또 발표한 ‘중국 성장구조 전환과정과 파급영향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한은은 “중국 경제의 중간재 자립도가 높아지고 기술경쟁력 제고로 경합도가 상승했다”며 “경제가 과거와 같은 중국 특수를 누리기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