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현지시간) 미국 CBS 방송 ‘페이스 더 네이션’과 인터뷰하고 있는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프랑스 국빈 방문을 수행한 설리번 보좌관은 프랑스 파리에서 언론 인터뷰에 응했다. 사진 CBS 홈페이지 캡처
설리번 보좌관은 9일 CBS 방송 ‘페이스 더 네이션’ 인터뷰에서 ‘러시아ㆍ중국ㆍ북한ㆍ이란이 현재 핵 기술을 공유한다는 증거를 봤느냐’는 질문에 “핵 능력과 관련된 민감한 정보에 대해선 말할 수 없다”며 “하지만 그들 국가의 (핵) 협력에 대해 우려하고 중국이나 러시아뿐 아니라 북한과 같은 국가의 핵무기 고도화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우리는 열심히 검토하고 있으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미국의 핵 억제력을 보장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에 대해 동맹 및 파트너 국가들과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설리번 보좌관은 ‘적국의 핵무기 확장 및 다양화 기조에 대응해 미 대통령이 몇 년 내 핵무기 숫자의 증가를 결정할 수 있다’는 바디 보좌관의 발언에 대해서는 “우리는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면서도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며 방금 말한 (핵무기 확대) 가능성을 최소한 (옵션) 테이블에 올려놓으라는 전문가 그룹 등 초당적 요구에 귀를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우리가 수개월 내지 수년 내 내려야 할 결정”이라고 했다.
‘중국이 군비통제 시도를 무산시켰기 때문이냐’는 진행자 질문에 설리번 보좌관은 “중국은 최근 몇 달간 비확산 및 군비통제 문제와 관련해 우리와 대화하려는 의사가 낮아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높아졌다”면서 “이제 막 시작된 대화”라고 말했다.

프라나이 바디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군비통제ㆍ군축ㆍ비확산 담당 선임보좌관이 7일(현지시간) 군비통제협회(ACA) 연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ACA 홈페이지 캡처
설리번 보좌관은 ‘우크라이나가 미국이 제공한 무기를 러시아 영토 공격에 사용할 수 있도록 미 정부가 제한적으로 허용한 것이 전장에서 변화를 가져왔느냐’는 질문에는 “하르키우는 여전히 (러시아군의) 위협 상태에 있지만 러시아는 하르키우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며 “(러시아군의 진격) 모멘텀이 정체됐다”고 평가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협상과 관련해 “하마스가 협상에 응하기만 하면 바로 협상이 성사될 수 있다”며 “아직 하마스로부터 공식적인 답변을 받지 못했다. 이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7월 말에 있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미 의회 상ㆍ하원 합동 연설이 있을 때쯤에는 휴전 및 인질 협상이 타결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