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 임금 체불, 운영 손실 등으로 올해 교육당국에서 ‘경영위기’ 평가를 받은 사립대가 전국에 10여곳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대학에 최근 10년 간 투입된 국가 재정은 약 6000억원이다. 교육부와 한국사학진흥재단은 이르면 다음 주 중 경영위기 대학 명단을 공개하고 폐교나 구조조정 권고 등 후속 계획을 발표한다.
3일 대학가에 따르면 사학재단은 올초부터 진행한 사립대학 구조개선 지원사업(재정진단) 결과 약 10개교를 경영위기대학으로 진단했다. 사립대학 재정진단은 올해 처음 시작하는 윤석열 정부의 대학 구조조정 정책이다. 학생 충원율, 적립금·이월금·체불임금 등을 기준으로 재정건전대학과 경영위기대학을 분류한 후 위기대학에는 교육당국이 컨설팅 등을 통해 폐교, 구조조정, 재정구조 개편 등을 권고하게 된다. 사학재단 측은 “학교 수에 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수도권 한 전문대 1000억 투입에도 경영위기
대학정보공시, 각 대학 홈페이지 등에 공개된 경영위기 대학의 결산서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이들 대학에 지급된 국가장학금, 재정지원금 등 국가 보조금이 총 6000억원에 달했다. 올해와 미제출된 결산서까지 포함하면 재정 지원 규모는 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수도권의 한 전문대학의 경우 10년 간 1000억원이 넘는 국가 보조금이 투입됐다. 대학 사정을 잘 아는 교육계 관계자는 “막대한 공적 자금이 들어갔는데도 부실 위기 상태에 빠지는 것을 막지 못한 셈”이라며 “최근 국회에서 몇백억 예산안을 놓고도 싸우는데, 이런 재정은 소리 소문도 없이 투입되고 사라진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경영위기 대학 중 하나인 경북의 한 사립대는 현재 교직원들이 대학을 파산시켜달라고 요청해 관련 재판이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수년 째 못 받은 교직원 82명의 임금이 74억원에 달한다. 대학이 파산해서 재산을 처분하면 체불 임금을 갚을 수 있다는 게 교직원들 주장이다.
학교 측은 학교 부지 일부를 한국수력원자력에 매도해 이를 갚을 수 있다고 했지만, 한수원 측은 “감정평가 결과가 매도 희망 가격과 차이가 크다”며 본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2040년, 고3 인구<서울권 대학 입학정원
학령인구 감소가 ‘예견된 미래’인 만큼 위기대학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3일 국회에서 열린 ‘고등교육 재정지원 전략과 사립대학 구조개선’ 토론회에 발제자로 나선 김병주 영남대 교수에 따르면 2040년 만 18세(고등학교 3학년) 인구는 26만1428명으로 추정된다.
대전의 한 사립대 교수는 “올해 서울권 일반·전문대 입학정원(약 29만명)이 유지될 경우, 고3 학생 수만 산술적으로만 놓고 보면 비서울권 대학은 다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부실·경영위기대학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한수 경기대 경영학부 교수는 “위기대학 지정 후속 조치인 구조조정, 폐교 등을 강제할 수 있도록 사립대학 구조개선법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는 권고에 그치는 사립대학 재정진단 사업의 처분을 강화하자는 취지다.
다만 폐교만이 답은 아니라는 주장도 나온다. 토론회에 참석한 안순엽 전북 남원시 기획실장은 “2018년 서남대가 폐교한 후 연간 최대 344억원의 지역 소득이 줄었다”며 “지역 상가 40개 중 35개소가 폐업하고, 원룸 58개소 중 30개소가 완전 폐업하며 지역이 슬럼화됐다”고 했다. 지역 대학 소멸이 지역 경제 공동화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