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인도법인을 현지에서 상장한다.
6일 LG전자는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현지 법인의 상장예비심사청구서(DRHP)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상장예비심사는 상장심사기관이 법인의 지배구조와 재무 현황 등을 심사하는 것으로, 상장 절차의 첫 단계다. 인도 당국의 상장예비심사는 통상 3개월가량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장예비심사가 끝나면 수요 예측을 통해 공모가와 공모일을 확정하고, 최종 증권신고서(RHP)를 승인받게 된다.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할 경우 LG전자 인도법인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상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LG전자 관계자는 “최종 상장 여부는 시장 상황과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할 계획”이라고 했다.
LG전자는 인도법인의 상장을 위해 회사가 보유한 인도법인 주식 중 1억180만주(전체 지분의 15%)를 구주 매출로 처분할 전망이다. 신주 발행 없이 기존 주주가 보유한 주식 지분 일부를 공개 매각하는 방식으로, 상장으로 확보한 자금이 본사로 유입되는 구조다. LG전자는 인도법인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LG전자가 인도법인 상장을 통해 최대 15억 달러를 조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997년 설립된 LG전자 인도법인은 세탁기와 냉장고 등 가전·전자제품 판매를 주력으로 한다. 올해는 3분기 누적 매출 3조700억원을 기록하면서 연 매출이 지난해 매출(3조3000억원)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