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유사 사례(노무현ㆍ박근혜 탄핵 정국)에 비춰 보면 소비 심리 위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정국이 시작된 2016년 10월부터 소비 지표는 낮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2016년 4분기 소매판매액(불변) 지수는 전년 동기보다 2.2%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 해 1분기(4.7%)·2분기(5.5%)·3분기(3.2%)에서 큰 폭으로 둔화한 것이다. 이듬해 3월 헌법재판소에서 탄핵 결정되면서 소비 지표는 더 꺾였다. 2017년 1~2분기 소매판매액지수는 1%대 증가율로 추락했다. 2016년 3%대를 유지했던 국내총생산(GDP) 민간소비 증가율도 탄핵정국에 들어선 4분기부터 1%대로 떨어졌다.
2004년 3∼5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부터 기각까지 기간에도 소비심리는 위축됐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004년 1분기(-0.5%)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4분기에 들어서면서 1%대를 회복했다.
경제적 혼돈은 소비심리를 위축시키면서 영세 자영업자ㆍ소상공인의 어려움이 한층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과거 두 차례 사례에서 소비 심리 위축은 실질적인 소비 위축으로 이어졌다”며 “이번에도 소비 심리 위축은 불가피하고 소비 위축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소비 위축까지 실현되면 내수 침체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장기 불황으로 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이번에는 '질서있는 퇴진'에 방점을 둔 여당과 '윤 대통령의 탄핵'을 밀어붙이는 야당간의 충돌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 과거 두차례의 탄핵 정국 때보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더 오래,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지금은 반도체 경기 하락, 미국 관세 인상 충격파, 수출 둔화 조짐 등 장애물이 산적하다. 가뜩이나 소매판매지수가 10개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보이는 등 내수 경기 침체한 상황에서, 골을 더욱 깊게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ㆍ암로)는 6일 ‘2024 한국 연례협의’ 결과를 발표하며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이 1.9%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씨티은행도 최근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2%포인트 낮춘 1.6%로 제시했다.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한 8개 IB(투자은행)의 평균치는 지난달 말 기준 1.8%로, 한 달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이번 전망에는 계엄 사태 후폭풍과 등이 반영되지 않았는데도, 한국이 내년 잠재성장률(2%)을 밑도는 성장을 할 것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과거 유사 사건 때보다 한국 경제의 산업경쟁력 등 기초체력이 약화해 있는 점, 내년도 예산안이 처리되지 않은 시점에 사태가 터져 예산안 처리 지연 가능성이 더욱 커져 경제 성장률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는 점도 악조건”이라고 우려했다. 안 교수는 “어떤 방향으로든 최대한 빨리 탄핵 정국을 수습해 정치적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