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촛불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은 탄핵 가결로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은 다소 해소됐지만, 국가 리더십 공백 속에서 ‘트럼프 고관세’ 위협과 저성장 위기에 제대로 대응할지에 대한 우려의 시각을 거두지 않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스위스 투자은행(IB) 롬바르드 오디에의 아시아 최고투자책임자(CIO)인 존 우즈는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내년 1분기쯤 최종 국면(end game)을 나타낼 게 확실하다”고 전망했다. 그는 미 경제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시장이 이를 과소평가하지 않을 것이며 틀림없이 이 위기를 살피면서 한국 기업의 이익에 초점을 더 맞출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한국의 탄핵 정국이 장기 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경제적 위기라기보단 정치적 위기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가 점점 더 심해질 수 있으나 일부 투자자들은 오히려 기회를 얻기 위해 한국 시장을 진지하게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치적 배경을 둘러싼 변동성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하지만, 동시에 인공지능(AI) 공급망으로서의 전반적인 한국의 가치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AI 공급망에서 한국의 미래는 훼손되지 않았고, 이를 믿는 중장기 투자자들에게는 기회가 된다”고 분석했다.
당분간 극한의 정치적 혼란이 여전히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는 의견도 많다. 워싱턴포스트(WP)는 “한국은 이제 장기간의 불확실성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헌재에서 탄핵심판 결정을 내릴 때까지 최대 6개월 동안 국가 리더십 공백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WP는 “한국의 리더십 공백은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 시기와 맞물려 있다”며 “전문가들은 미국의 아시아 주요 동맹국 중 하나인 한국의 권력 공백은 미국과의 관계를 약화하고 외교 정책과 무역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본격적인 트럼프 행정부 2기의 고관세 위협도 경제 리스크로 꼽았다. 노무라증권은 “탄핵소추안 통과로 시장은 다시 펀더멘털에 주목할 것”이라며 “한국 주식시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변화와 반도체 수출 둔화 우려 등을 반영해 내년 상반기엔 조정을 받고 하반기로 가면서 상승하는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