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일본의 군국주의를 비판하며 이처럼 전쟁 책임을 강조했던 일본 언론계의 ‘거두’ 와타나베 쓰네오(渡辺恒雄) 요미우리신문그룹 본사 대표이사 겸 주필이 19일 새벽 폐렴으로 도쿄의 한 병원에서 별세했다. 98세.
그 과정에서 한·일 국교정상화 등 굵직한 외교 현안에도 직간접적으로 간여했을 정도였다. 그가 2006년 니혼게이자이신문에 연재했던 회고록에 따르면 당시 36세의 김종필(JP) 중앙정보부장을 자민당 실세인 오노 반보쿠(大野伴睦·당시 부총재)와 연결해준 장본인이었다. ‘김종필-오히라 메모’로 알려진 비밀 회담 내용을 가장 먼저 보도한 것도 와타나베였다.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曽根康弘), 아베 신조(安倍晋三),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등 역대 총리들은 그의 말을 경청했다. 막후에서 정계 구도를 리드하고, 때로는 ‘제언 보도’라는 형태로 자신이 직접 판을 짰다. 1994년 자위력 보유 등 사실상 ‘보통국가’를 명시한 ‘헌법 개정 시안’을 발표해 패망 이후 일본사회에서 금기시되던 개헌 논의에 불을 지핀 게 대표적이다.
그렇다고 이런 오명을 마냥 싫어하진 않은 것 같다. 한때 ‘리더로 삼고 싶지 않은 인물’ 4위에 오른 걸 두고, 그는 “나도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좋은 사람이라고 하겠지만, 그러면 저널리스트라고 할 수 없을 것”(아비루 루이 산케이신문 논설위원)이라고 태연히 말했다고 한다.
‘천황제’ 반대하던 공산주의자
‘보수주의자’를 자처하면서도 일본의 과거사에 엄격했던 것도 같은 배경에서였다. 19살에 징집돼 일개 병으로 느꼈던 군국주의의 실상을 “젊은 세대에 전하겠다”는 사명감이 컸다.
이후 요미우리는 와타나베 주도로 2005년 1년간 과거사를 반성하는 내용의 ‘검증 전쟁 책임’을 연재했다. 이뿐만 아니다. 와타나베는 2020년부터 이듬해까지 방영된 NHK 다큐멘터리(총 3편)를 통해 ‘전쟁을 경험한 마지막 세대’로서 사명감을 강조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직 주일대사는 19일 전화 인터뷰에서 “일본 보수의 진짜 리더였다”며 “생전에 그를 만났을 때, 과거를 반성하지 않는 일본 우익과는 질적으로 다른 사람이라고 느꼈다”고 회상했다. 신각수 전 주일대사도 “일본사회가 전후 세대로 교체되면서 ‘역사수정주의’가 주류가 됐는데, ‘균형수’ 역할을 해주던 와타나베 주필과 같은 분들이 사라지니 우리로선 참 아쉽다”고 말했다.
1000만부 위업 달성…종이신문에 애착
최근 요미우리의 발행 부수가 618만부(지난해 하반기 평균)까지 급전직하한 상황에서도 그의 종이신문에 대한 애착은 유별났다. 올해 창간 150주년을 맞아 발표한 ‘주필 메시지’에선 “디지털 사회에서도 정치·경제·국제·사회 등 각 방면의 뉴스를 종합적·체계적으로 알고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매체로서 신문의 가치는 해를 거듭할수록 재평가되고 있다”며 “기자들의 꼼꼼한 취재를 바탕으로 정확하고 질 높은 정보를 전국 판매점망 등을 통해 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타고난 ‘일 중독자’였다. 요미우리의 19일자 부고 기사에 따르면 와타나베는 지난달 말까지도 정기적으로 임원회의와 사론(社論)회의에 참석해 경영과 논조의 방향을 지휘했다. 또 별세 며칠 전까지 사설 원고를 검토하는 등 ‘종신 주필’로서의 직무를 계속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