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하는 것을 멈추었다면 살아있어도 죽은 것과 같다. 부고를 읽는 것은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변화시킨 사람들의 흔적을 일깨워준다."
미국의 정치인이자 철학자였던 벤저민 프랭클린(1706~1790)이 남긴 말이다. 다사다난 2024년에도 많은 이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프랭클린의 말을 빌려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며 이름을 남긴 국내외 10인이 남긴 이야기를 모았다. 활동했던 분야, 지향했던 방향은 다르지만, 더 좋은 세상을 위해 제각기 분투했다는 점은 같다. 게재 순서는 별세 일자 기준.
민간 경제외교관, 기업인 조석래
효성그룹을 글로벌 기업으로 일으켜 세운 고인의 별명은 '조 대리'였다. 현장을 꼼꼼하게 직접 챙기고 실무까지 살핀다는 의미에서다. 신혼여행지를 고를 때도 현지에서 기술 연수를 받을 수 있는지를 따졌다고 한다. 그의 이런 집념은 2011년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고성능 탄소섬유의 국내 최초 개발 등 다양한 성과로 이어졌다. 전국경제인연합회부터 한미경제협회 등 다양한 국내외 경제단체에서 회장을 맡으며 민간 경제 외교관으로도 활약했다.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뒤 7년이 지난 올해 3월 29일 숙환으로 영면했다. 89세.
'빠리의 택시 운전사', 작가 홍세화
'세계 평화'를 줄여 만든 이름을 가진 고인은 20년 간 프랑스에서 망명자로 살았다. 1979년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 사건에 연루되면서다. 그는 돌아오지 못했지만 그가 쓴 책,『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사』는 베스트셀러가 됐다. 책에서 그가 강조했던 개념은 '똘레랑스(toléranceㆍ관용)'. 그는 "차이를 이유로 차별하거나 배제하지 않는 것"이라며 '다름'이 '틀림'이 되지 않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귀국 후엔 저술과 강연 활동을 하며 정계에도 몸담았다. 벌금을 못 내 노역 위기에 처한 이들에게 무이자 대출을 해주는 ‘장발장은행’도 설립했다. 4월 18일에 숨을 거두기 며칠 전 마지막 언론 인터뷰에서 그가 남긴 말은 "이젠 자유롭다"였다. 77세.
자나깨나 나라 걱정, 정치인 노재봉
아침이슬·지하철 1호선, 가수 김민기
김민기를 상징하는 또다른 단어는 학전. 그가 1991년 대학로에 설립한 이 극장은 수많은 신인 배우와 작가의 요람이 됐다. 그가 제작한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은 2023년까지 8000회 이상 공연되는 역사를 썼다. 그의 병환이 깊어지면서 "김민기가 없으면 학전도 없다"는 말과 함께 학전은 지난 3월 폐관했다. 1951년 태어난 고인은 7월 21일 영면했다. 73세.
트로트 4대 천왕, 가수 현철
눈으로 말하다, 농구인 박승일
중앙일보가 2005년 1면에 게재한 안구 마우스 인터뷰에서 "나 여기 살아있다"고 전하는 그의 눈엔 눈물이 한 방울 맺혀 있었다. 그의 뜻으로 설립된 승일희망재단은 루게릭병 환우의 아픔을 알리는 데 앞장섰고, 가수 션과 함께 설립한 루게릭병 요양병원은 10월 완공됐다. 고인은 병원 완공을 목전에 둔 9월 25일, 긴 투병을 끝내고 영면에 들었다. 53세.
회사원에서 국회부의장까지, 정치인 이상득
동생의 청와대 입성을 위해 특유의 친화력과 정치력을 발휘해 '친이'계를 키워냈다. '상왕' 등 부정적 수식어도 따라다녔다. 동생의 대통령 당선 뒤엔 국회의장의 꿈을 접고 자원 외교에 힘썼다. 금품 수수 등의 혐의로 옥고를 치렀다. 지병으로 10월 23일 영면했다. 89세.
영원한 일용엄니, 배우 김수미
이후 특유의 걸쭉한 사투리를 트레이드마크로 '욕쟁이 할머니'로 활약했다. 요리 실력도 뛰어나 김치와 게장 등을 만들어 판매하는 기업도 설립했다. 그는 지난해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18세에 떠나보낸 엄마 손맛이 그리워서 요리하기 시작한 것이 사업이 됐다”고 털어놨다. 그의 삶은 그러나 상처도 많았다. 그가 1983년부터 썼던 일기를 모은 유작 에세이에서 그는 자살 시도와 빚 독촉, 소송 등에 시달렸던 이야기를 털어놨다. 10월 25일 고혈당 쇼크로 숨을 거뒀다. 75세.
다이소 창업자, 야노 히로타케(矢野博丈)
당시 그는 사업이 바빠지면서 가격표를 구별해 붙이는 게 번거롭다는 이유로 모든 상품을 100엔에 파는 전략을 채택, 성공의 기반을 다졌다. 그렇게 1972년 자신의 이름을 따서 시작한 '야노 상점'은 다이소로 개명하고 오늘날에 이른다. 1990년대 후반 일본의 버블 경제가 붕괴하고 장기 불황이 시작된 건 야노 회장에겐 호재였다. 2001년 대만 진출로 해외로까지 발을 넓혔고, 현재 일본 국내외 5000여개 매장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키워냈다. 젊은 시절 권투선수를 꿈꿨던 그의 사인은 심부전. 80세.
일본 언론계 거목, 와타나베 쓰네오(渡辺恒雄)
그가 평기자 시절 만년 2위였던 요미우리는 그의 사장 재임 중 발행 부수 1000만부를 돌파하며 1위 입지를 굳혔다. 그는 뚜렷한 보수 성향이면서도 일본의 군국주의를 비판하는 양심적 언론인으로도 목소리를 냈다. 전범자가 합사된 야스쿠니(靖國) 신사에 대해 "침략한 가해국과 침략당한 피해국의 정치적 상징"이라며 참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폐렴으로 12월 11일 별세하기 수일 전까지도 병상에서 후배들의 신문 칼럼 원고들을 점검했다는 후문이다. 98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