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2일(현지시간) 관보를 통해 드론에 필수적인 ‘정보통신기술 및 서비스’(ICTS) 거래에서 비롯되는 국가안보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의견 수렴 절차를 오는 3월 4일까지 진행하기로 했다.
BIS는 “첨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상업용 드론은 이제 미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며 “적대국, 특히 중국과 러시아가 드론에 필수적인 ICTS의 디자인, 개발, 제조, 공급에 관여해 미국의 ICTS 공급망과 핵심 기반 시설, 미국민의 보안과 안전을 포함한 국가안보에 과도하거나 용납할 수 없는 위험을 제기할 것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BIS는 중·러가 전 세계 드론 시장에서 지배적인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고, 특히 중국이 절대적인 시장 지배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미국 시장에선 중국 기업(본사 기준)의 드론이 75%(2021년)를 차지했다. 중국 당국이 민간 (드론)기업을 정치적·법적으로 압박해 악용할 위험이 크다는 게 BIS의 판단이다.
BIS는 드론을 통한 데이터 유출과 원격 조종을 주요 위험 분야로 지목했다. 이 때문에 드론에 탑재하는 컴퓨터, 조종기, 송수신 장비, 위성항법시스템(GNSS) 센서, 각종 소프트웨어, 저장장치 등을 중심으로 규제가 이뤄질 전망이다.
그간 미국에선 중국 정부가 드론을 해킹·원격 통제해 미국 내 주요 시설을 감시하거나 공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미 하원은 지난해 9월 세계 최대 드론 제조업체인 중국 DJI의 신제품에 대해 미국 내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기도 했다.
中 “배터리 양극재·리튬 관련 기술 수출 규제”
지난달 3일에도 중국은 첨단 기술 및 군사 용도로 사용되는 일부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 및 초경질 재료와 관련한 이중용도 품목에 대한 미국 수출을 불허하는 수출 통제 규제를 발표했다. 미국이 특정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을 수출 금지 대상에 추가하는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한 직후에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