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공지능(AI) 반도체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앞세워 실적 ‘대박’을 낸 SK하이닉스도 1월 중 연봉의 최대 50% 성과급 지급을 예고했다. ‘구광모 호(號)’가 출범한 뒤 성과주의에 속도를 내고 있는 LG전자도 지난해 호실적에 따라 1~2월 중 성과급 지급을 검토 중이다. 생활가전 사업부의 경우 지난해 초 기본급의 최대 665%에 달하는 성과급을 지급했다.
역시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현대차는 일찌감치 성과급 곳간을 채웠다. 지난해 9월 노사 임금·단체협약 타결에 따라 성과금 400%+1050만원+주식 15주+상품권 25만원 등을 10~11월에 걸쳐 지급했다. 현대차는 다만 연말연시 성과급은 따로 지급하지 않는다. 연말연시 성과급이 없는 포스코는 지난해 12월 경영목표 달성 동참 격려금 300만원, 노사화합 격려금 300만원을 지급했다.
조선 1위 HD현대중공업은 비(非)연봉제 직원에게 지난해 말 약정임금(기본급+제 수당+개인연금 등)의 377%를 성과급으로 지급했다. 연봉제 직원에게도 전년보다 더 많은 성과급을 2월 중 지급할 예정이다. ‘역대급’ 실적을 낸 은행권(KB·우리·하나 등)은 성과급 지급 자체는 확정적이고 ‘역대 최대’ 규모의 지급 액수를 놓고 노사 협상에 한창이다. 앞서 1월 중 기본급의 280%를 성과급으로 주기로 한 신한은행이 ‘기준선’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지난해 실적이 나빴던 정유 4사(SK이노베이션·GS칼텍스·에쓰오일·HD현대오일뱅크)는 성과급 규모가 전년 대비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HD현대오일뱅크는 1월 중 위기 극복 격려금 명목으로 350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통상 2월 성과급을 지급한 한화솔루션도 지난해 실적 악화로 성과급 지급 여부가 불투명하다.
역시 실적 보릿고개를 겪은 2차전지 ‘대장주’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는 물론 올해도 성과급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유통업계에선 이마트·홈플러스가 최근 희망퇴직을 진행할 정도로 칼바람이 분 만큼 성과급을 기대하기 어렵다. 롯데쇼핑은 성과급 지급 여부를 검토 중이다.
‘공정하고, 투명한’ 성과급 지급은 최근 재계 트렌드다. 대기업마다 연공서열보다 성과 위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며 성과급의 중요성이 커졌다. 구성원 사기 진작은 물론 재계 위상과도 맞물린 부분이다. 특히 최근 4~5년 새 대기업에서 ‘MZ(1980~2000년대생) 노조’가 대거 출범하며 성과급이 화두로 떠올랐다.
홈플러스 최고인사책임자(CHRO)를 지낸 최영미 이화여대 특임교수는 “회사 성과가 좋은데도 성과급이 기대에 못 미치거나, 비슷한 실적의 경쟁사에 비해 보상이 떨어질 때 직원 반발이 심해진다”며 “부당한 보상이 인재 유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기업마다 명확한 기준, 성과에 따른 철저한 보상 프로세스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