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00인 이상 기업의 정규직 대졸 초임이 평균 5001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과급여를 제외한 연간 임금 총액이 5000만원을 돌파한 것은 처음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2일 ‘우리나라 대졸 초임 분석 및 한·일 대졸 초임 비교’ 보고서를 통해 이렇게 밝혔다. 임금 총액은 2023년 기준 정규직 대졸 신입사원이 받은 정액 급여에 특별급여(정기상여·변동 상여)를 더하는 방식으로 계산했다.
5인 미만 사업체의 정규직 대졸 초임은 2731만원으로, 300인 이상 사업체의 54.6%에 불과했다. 정규직 대졸 초임 전체 평균은 3675만원이었다. 임금 총액에 초과급여를 포함할 경우 전체 평균은 3810만원이었고, 300인 이상이 5302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일본과 비교했을 때 한국 대졸 초임은 모든 사업체 규모에서 일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가 커질수록 그 차이도 더욱 벌어졌다. 양국 비교를 위해 29세 이하 대졸 상용직 신규 입사자의 연간 임금 총액(초과급여 제외)을 분석 대상으로 했다.
한국 대기업(500인 이상)의 대졸 초임은 구매력평가(PPP) 환율 기준 5만7568달러로, 일본 대기업(1000인 이상·3만6466달러)보다 57.9% 높았다. 전체 평균(10인 이상)은 한국이 4만5401달러로, 일본(3만4794달러)보다 30.5% 높았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졸 초임 수준 분석에서도 한국(78.2%)이 일본(69.4%)보다 8.8%포인트 높았다. 대기업끼리 비교하면 그 격차는 26.5%포인트(한국 99.2%·일본 72.7%)로 커졌다. 10~99인 사업체와 비교했을 때 일본 대기업 초임은 114.4%에 불과하지만, 한국 대기업 초임은 149.3%로 나타났다. 사업체 규모별 대졸 초임의 격차가 한국이 더 크다는 뜻이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한국이 일본보다 대·중소기업 간 대졸 초임 격차가 훨씬 큰 이유는 한국 대기업 초임이 일본보다 지나치게 높기 때문”이라며 “이는 노동시장 내 일자리 미스매치 심화,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확대 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한국 대기업의 전반적인 고임금 현상은 높은 대졸 초임에 연공형 임금체계, 노동조합 프리미엄까지 더해진 결과”라며 “일의 가치와 성과에 따른 합리적인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임금체계로 바꾸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