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21일 이런 내용의 ‘2025년 통계청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통계청은 우선 개인의 경제·사회적 특성에 따른 혼인·출산 현황 파악이 가능한 ‘인구동태패널통계’를 새로 만든다. 저출산 정책 개발을 뒷받침하려는 목적이다. 인구동태코호트 데이터베이스(DB)와 통계등록부 등을 결합해 1983~95년생의 생애 사건(교육·취업·혼인·출산 등) 변화를 추적·관찰할 예정이다. 거주지·근로소득 수준·취업활동 등 항목별로 혼인·출산율이 어떤지도 본다. 예를 들어 ‘1985년생과 1993년생의 혼인·출산 차이’ 등 세대 격차나, ‘거주지·근로소득 수준이 혼인·출산에 미치는 영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통계청은 또 출산·육아 현황을 더 세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유배우 출산율’ 지표를 새로 개발한다. 육아 휴직 통계도 보완한다. 최근 20년간의 국내 인구이동 특성을 지역소멸·수도권 인구 집중 등 이슈와 연계·분석한 기획 통계도 발표할 계획이다. 분기별 지역내총생산(GRDP)도 처음으로 공표하는 등 지역 통계도 강화한다
‘2025 인구주택총조사’엔 비혼 동거·가족 돌봄 시간·임대 주체 등의 항목을 추가한다. 올해는 또 ‘2025 농림어업총조사’를 실시해 기후 변화 대응·영농 기술 발달·고령화와 외국인 고용 등 최근 농어업 환경 변화도 파악할 예정이다.
아울러 통계청은 경제와 민생을 뒷받침하기 위해 최근 현실을 반영한 경제통계를 생산하기로 했다. 속보성 경제지표, 포괄적 민간소비지표도 개발한다. 전국의 옥탑·지하(반지하) 등 주거 취약 현황을 올 7월 첫 공표한다. 고립·은둔 관련 등 복지통계도 확충하기로 했다.
통계청은 새로운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중심으로 수요 맞춤형 특수분류 개발에 속도를 낸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통계 생산에도 나선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2025년은 인구주택총조사 100년을 맞는 해”라며 “2025 인구주택총조사와 농림어업총조사를 차질 없이 실시하고, 국가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통계 생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