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쿼드 외교장관 회의에는 미국의 마코 루비오 신임 국무장관과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 수브라마남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장관,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이 참석해 인도태평양 지역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들은 회의 뒤 채택한 공동성명에서 중국을 겨냥해 “무력이나 강압에 의해 현상을 변경하려는 일방적 행동에 반대한다”고 했다.
하지만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때 쿼드 정상회의나 외교장관 회의 뒤 나온 공동성명에는 빠짐없이 들어갔던 한반도 비핵화를 포함한 북한 관련 언급은 이례적으로 빠졌다. 지난해 7월 쿼드 외교장관 회의 공동성명에서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공약을 재확인했다”고 적시한 바 있다. 이전 성명에서는 관례적으로 들어갔던 이 문구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 열린 쿼드 회의에서 빠지면서 미국의 대북정책에 변화가 있는 것 아닌지 관심이 모아진다.
미 대북정책에 변화 여부 관심
이와 관련해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시드니 사일러 선임고문은 22일 “트럼프 발언이 매우 커다란 의미를 갖는 것인지,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대한 많은 통찰을 제공하는지는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사일러 고문은 다만 “(트럼프 발언은) 그와 그의 안보팀이 지난 4년간 진화한 북한의 위협을 살펴봤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NSC·국무부, ‘트럼프 코드 맞추기’ 분주
이는 사실상 원 소속 기관 복귀를 전제로 한 대기발령 내지 업무 배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 대신 트럼프 집권 1기 때 일했던 인사 등 트럼프 대통령과 코드가 맞는 공무원들을 관련 부처로부터 파견받고 있다고 한다. 실무 라인의 대대적 물갈이를 통해 친트럼프 성향 공무원들로 자리를 채워 넣고 있다는 의미다.
‘바이든 지우기’에 들어간 국무부도 ‘트럼프 의제 집중’ 구조로 신속히 전환하고 있다. 루비오 장관은 이날 ‘트럼프 2기 국무부의 우선순위와 사명’을 발표하고 “우리가 추구하는 모든 정책은 미국을 더 안전하게 만드는가, 미국을 더 강하게 만드는가, 미국을 더 번영하게 만드는가 등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으로 정당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량 이주 억제 및 국경 강화 ▶DEIA(다양성ㆍ형평성ㆍ포용성ㆍ접근성) 정책 폐기 및 성과와 공로에 따른 보상 ▶정보 검열과 억압 중단 ▶미국을 약화시키는 기후정책 폐기 등 정책 기조를 열거했다. 모두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운영 콘셉트에 부합하는 방향이다.
한편 루비오 장관은 이날 필리핀 외교장관, 인도네시아 외교장관 등과 잇따라 전화 통화를 갖고 남중국해 해양 안보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엔리케 마날로 필리핀 외교장관과의 통화에서는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행동은 역내 평화와 안정을 훼손하고 국제법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루비오 장관은 이어 수기오노 인도네시아 외교장관과도 통화하고 인도태평양 지역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양국 간 무역ㆍ투자 심화 등 경제 협력의 중요성을 공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