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일이야
무슨 얘기 나눴나
올트먼 CEO와 케빈 웨일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오픈AI 모델의 오류율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딥시크 관련해선 별도의 언급은 없었다. 웨일 CPO는 “GPT-2는 쿼리(질문) 50%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GPT-3는 20%였고, GPT-4에서는 2%로 줄었다”며 “최신 모델에선 이런 오류율이 1000개 중 한 번 이하로 줄었다”고 했다. 이어 “인간도 사고 과정에서 실수를 저지르지만, GPT 시리즈는 이런 사고 과정을 빠르게 모방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트먼 CEO는 “사람들은 인간이 실수하는 것은 쉽게 받아들이지만, 기계가 실수하는 것은 용납하지 않는다”며 “예컨대, 자율주행차 사고율이 인간보다 낮다고 해도 사람들은 여전히 이를 믿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10억 개 대학 수준 수학 문제를 0%의 오류율로 해결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이를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올트먼 CEO는 ”우리는 최고의 연구진과 인프라,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최고의 모델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로봇 사업과 관련한 의견도 밝혔다. 올트먼 CEO는 “예전에도 로보틱스를 연구했지만, 당시에는 너무 이른 시기였다. 하지만 최근 동영상 모델과 기계공학 분야에서의 발전을 고려할 때, 이제는 다시 도전해볼 가치가 있는 시점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한국 기업과는 무슨 얘기를
국내 게임 회사 크래프톤의 김창한 대표도 이날 올트먼 CEO와 만났다. 김 대표는 “오픈AI의 플래그십 모델을 비롯한 고품질 LLM을 기반으로 한 CPC(AI 기술을 접목한 게임 캐릭터) 개발과 게임 특화 AI 모델 최적화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올트먼 CEO는 SK네트웍스 최성환 사장, 조현상 HS효성 대표, 허윤홍 GS건설 대표, 이규호 코오롱 부회장, 유우진 LG전자 오픈이노베이션 담당, 정종환 CJ ENM 콘텐츠·글로벌 사업 총괄 등 기업인들과 오찬 회동도 했다. 이 자리에서 올트먼 CEO는 “에너지, 반도체, 데이터센터 운영 및 AI 인프라 구축 등에서 한국 기업들과 협력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향후 오픈AI는 온디바이스 AI 기술 개발도 추진 중이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새로운 AI용 하드웨어를, 오픈AI는 여기에 들어갈 온디바이스 AI를 개발하는 식으로의 협력도 할 가능성이 열려있는 셈이다.
이게 왜 중요해
팩플 : AI가 미래를 바꾼다
세상을 바꾸고 있는 AI, 더 자세한 기사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딥시크 쇼크? 4대천왕 더 있다…中 10년간의 ‘치밀한 빌드업’ [딥시크 스톰①]
파란 고래를 로고로 내세운 인공지능(AI) 챗봇이 깜짝 등장하더니 글로벌 앱스토어 1위를 휩쓸며 챗GPT를 위협한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만든 동명의 서비스 딥시크다. 최신 반도체도, 소프트웨어(SW)도 미국이 틀어쥐고 제재했는데 대체 어떻게? 중국엔 딥시크 같은 AI 기업이 4000개 이상 있다는데, 딥시크 이후의 AI 세계, 한국은 생존할 수 있을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292
📌Future of AI, 미래를 보다 2025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10일이면 AI가 변합니다. 쏟아지는 새 AI 트렌드 속에 길 잃고 헤매셨다면? AI 에이전트, AI 검색…, 올해 꼭 알아야 할 핵심 트렌드, PDF 북 한권에 정리해 드립니다. AI 용어 가이드북, AI 석학 앤드루 응 스탠퍼드대 교수 독점 인터뷰 전문도 함께 담았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pdf/1011
📌딥시크 쇼크? 4대천왕 더 있다…中 10년간의 ‘치밀한 빌드업’ [딥시크 스톰①]
파란 고래를 로고로 내세운 인공지능(AI) 챗봇이 깜짝 등장하더니 글로벌 앱스토어 1위를 휩쓸며 챗GPT를 위협한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만든 동명의 서비스 딥시크다. 최신 반도체도, 소프트웨어(SW)도 미국이 틀어쥐고 제재했는데 대체 어떻게? 중국엔 딥시크 같은 AI 기업이 4000개 이상 있다는데, 딥시크 이후의 AI 세계, 한국은 생존할 수 있을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292
📌Future of AI, 미래를 보다 2025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10일이면 AI가 변합니다. 쏟아지는 새 AI 트렌드 속에 길 잃고 헤매셨다면? AI 에이전트, AI 검색…, 올해 꼭 알아야 할 핵심 트렌드, PDF 북 한권에 정리해 드립니다. AI 용어 가이드북, AI 석학 앤드루 응 스탠퍼드대 교수 독점 인터뷰 전문도 함께 담았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pdf/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