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돈줄 끊자…지뢰제거 작업도, 에이즈 예방도 멈췄다

트럼프 대통령의 해외원조 축소 움직임에 시민단체가 항의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의 해외원조 축소 움직임에 시민단체가 항의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세계 최대 해외원조국 미국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원조를 일시 중단하면서 개발도상국들은 비상이 걸렸다. 에이즈 검사부터 전후 지뢰 제거 작업까지 각종 구호 현장이 멈춰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당일인 지난달 20일 국외 원조를 90일 동안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은 지난해에만 세계 각국에 660억달러(95조원)를 지원해 전 세계 ODA(공적개발원조)의 약 30%를 책임지고 있었다.

미국에 의존하던 전후 지뢰 제거 작업은 당장 돈줄이 말랐다. 지난 2일 국제단체 노르웨이피플스에이드(NPA)는 "우크라이나·아프가니스탄·이라크·베트남 등 11개국에서 미국이 자금을 지원하는 지뢰 제거 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베트남전 당시 미국의 공격을 받았던 베트남·캄보디아·라오스 등 동남아 국가들은 정부 차원에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리 투치 캄보디아 선임 장관은 "미국은 지뢰 제거에 매년 약 1000만달러(약 146억 원)를 제공하는 핵심 파트너로 이를 통해 1000명 이상이 작업에 배치됐다"며 "미국의 지원 중단으로 93개 작업이 악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구호 물자. 연합뉴스

미국의 구호 물자. 연합뉴스

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 증가 우려도 나온다. 서아프리카 시에라리온은 미국 원조로 엠폭스(원숭이두창)와 에이즈 검사를 운영했는데 최근 중단됐다. 라오스와 미얀마도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와 에이즈 예방 사업이 직접 타격을 입었다고 한다. 우간다 역시 말라리아를 막기 위한 살충제 및 모기장 보급이 끊겼다.


이에 대해 영국 가디언은 "미국의 원조 동결이 아시아 빈곤국에 가장 큰 타격을 입힐 것"이라면서 "결핵 예방과 기후변화 대응, 아동 보호, 인신매매 방지 등이 위기에 처했다"고 보도했다. 전세계 교육·보건·환경 등 인도주의 사업이 자금 문제를 겪을 거란 전망도 나온다.

미국의 해외원조 주무 부처인 국제개발처(USAID)는 홈페이지가 막히는 등 사실상 해체 수순에 들어갔다. 조직 규모가 크게 축소돼 국무부 산하로 재편될 예정이다. 현재 국제개발처 본부 건물은 직원들의 출입도 통제되고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