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9/75c3c296-8b10-4222-8d54-21113f8c36d5.jpg)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뉴스1
홍 전 차장은 비상계엄 선포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밤 윤 대통령에게 “싹 다 잡아들여”란 지시를 받은 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정치인 등 체포 대상자 명단을 듣고 수첩에 받아적다가 “미친놈이라고 생각해 그만뒀다”고 주장해왔다. 해당 메모는 계엄 선포 8일 뒤인 같은 달 11일 박선원 민주당 의원이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공개했다.
하지만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 5차 변론에서 홍 전 차장은 메모 원본은 구겨서 버렸고, 공개된 메모는 재작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전 차장은 “(원본은) 내가 봐도 알아보기 어려워 보좌관을 불러 정서(正書)를 시켰다”며 “메모엔 보좌관 글씨와, 흘려 쓴 내 글씨가 섞여 있다”고 했다.
이를 두고 윤상현 의원은 “홍 전 차장이 오염된 메모 논란을 자초했다”며 “주요 증인을 사전에 만나 증언 오염을 유도한 의혹을 받는 민주당 김병주, 박선원 의원 등에 대해 증인 매수와 증언 왜곡에 대한 진상조사를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동욱 당 수석대변인은 “일부 인사들의 오염된 진술과 허위 메모로 쌓아 올린 ‘내란 프레임’이 근본부터 흔들리고 있다”고 했고, 박수영 의원은 “시중엔 첨서한 글씨체가, 메모를 최초 공개한 박선원 의원 글씨체와 비슷하다는 의혹이 있다”며 조작설도 제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심판 6차 변론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의 답변을 들은 뒤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9/7c24ed9e-60bf-4f9e-a0bb-ca9d31d8828c.jpg)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심판 6차 변론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의 답변을 들은 뒤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도 지난 4일 헌재에서 “홍 전 차장 메모가 박 의원에게 넘어가면서 탄핵부터 내란죄 등 모든 프로세스가 시작된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접견한 여권 인사에게 지난해 12월 6일 당시 한동훈 대표와의 독대 상황을 언급하며 “내가 약점이 있으면 홍 전 차장을 어떻게 해임했겠느냐”라며 “한 대표와 같이 있는 자리에서 홍 전 차장 해임을 결정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국민의힘의 잇단 홍 전 차장 공세에 대해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홍 전 차장의 진술 신빙성을 흐리려는 의도”라며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순 없다. 국민의힘은 민주주의와 법치 훼손 시도를 당장 멈추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