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전국 아파트 하락거래 비중 44.9%…서울은 아직 상승거래 많아

1월 들어 아파트 거래 중 이전보다 내린 값에 거래되는 하락 거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여전히 상승거래 비중이 컸지만 일부 지역은 하락 거래가 더 많았다. 사진은 9일 아파트 단지 등 서울 시내의 모습.

1월 들어 아파트 거래 중 이전보다 내린 값에 거래되는 하락 거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여전히 상승거래 비중이 컸지만 일부 지역은 하락 거래가 더 많았다. 사진은 9일 아파트 단지 등 서울 시내의 모습.

 

올해 들어 전국 아파트 거래에서 이전보다 값이 내린 거래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울은 값이 오른 상승 거래의 비중이 여전히 더 컸다.

10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전국 아파트 거래 중 44.9%는 종전 거래가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된 '하락 거래'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12월(47.3%)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하락 거래 비중은 지난해 8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지난해 11월 43.7%를 찍으며 상승 거래 비중(42.6%)을 앞질렀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지난해 12월 하락 거래 비중(43.4%)이 상승거래 비중보다 높아졌으며 올 1월도 43.6%를 기록했다.


다만 서울은 상승 거래와 하락 거래 비중이 각각 44.7%, 36.9%로 여전히 상승 거래 비중이 더 컸다.

하지만 서울에서도 금천구(66.7%, 1월 기준), 노원구(55.7%) 등은 하락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다.

경기지역에서는 성남시 수정구(61.5%), 이천시(61.1%), 안산시 상록구(61.0%), 동두천시(60.0%), 의왕시(55.9%), 용인시 처인구(51.8%), 의정부시(50.8%), 파주시(50.4%), 고양시 일산동구(50.0%) 등의 하락 거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인천은 중구(52.8%), 남동구(51.6%)의 하락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고, 연수구도 49.3%로 절반에 육박했다.

지방은 지난해 11월 하락 거래 비중이 44.8%를 기록하며 상승 거래 비중(42.7%)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올 1월 하락 거래 비중은 45.6%로, 상승 거래(42.1%)보다 높다.

지역별로는 대전이 49.2%로 하락 거래 비중이 가장 컸으며 제주 49.0%, 부산 47.1%, 대구 46.3%, 충북 46.3%, 충남 46.1%, 경북 46.0%, 강원 45.9%, 경남 45.2% 등의 순이었다.

한편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올 1월 거래량은 1만8719건으로 작년 1월(3만1561건) 대비 40% 이상 줄었으며 지난해 월간 기준 가장 거래가 많았던 7월(4만8676건)과 비교하면 61.5% 감소,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