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로고와 미·중 국기. 로이터](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1/e29c705d-b5fd-45fe-b546-78aa729d4bee.jpg)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로고와 미·중 국기. 로이터
신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스타게이트’로 명명한 AI 정책을 펼치면서 중국이 심각한 인재와 기업의 유출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의 AI ‘뉴딜(새로운 정책)’이 중국보다 더 많은 글로벌 자본과 기술·산업 자원을 유치할 수 있다면서다.
다이밍제(戴明洁) 중국 화난(華南)이공대 공공정책연구원(IPP) 연구원은 “지난 10년간 중국의 세계 정상급 AI 인재 2800명 중 약 75%가 중국 밖에서 일하고 있다”며 “약 2000명의 AI 인재가 중국을 떠났고 그 가운데 1700명(이탈 인재의 85%)이 미국으로 향했다”고 지적했다.
지난 2일 IPP가 공개한 정책 건의서에 공동 저자로 참가한 다이 연구원은 “트럼프 ‘뉴딜’의 이념은 내부적으로 혁신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외부적으로는 봉쇄와 억제를 강화하는 것”이라며 “중국이 더 개방적인 혁신 환경을 만들지 못한다면 중국이 키운 유니콘과 우수한 기업들이 미국의 발전을 돕게 돼, 중국과 미국의 (AI) 격차가 더욱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중국은 세계 정상급 AI 연구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심각한 인재 유출을 겪고 있다. 미국의 중국 전문 싱크탱크인 마르코폴로가 지난해 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AI를 전공한 대학원생 가운데 6.74%만 중국으로 복귀했을 뿐 80.15%는 미국에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 AI를 전공하는 대학원생의 학부와 졸업후 경로를 분석한 미국의 중국 전문 싱크탱크 마르코폴로의 그래픽. 마르코폴로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1/afbdce9b-6215-4f03-8f68-75a5ac49df9d.jpg)
미국에서 AI를 전공하는 대학원생의 학부와 졸업후 경로를 분석한 미국의 중국 전문 싱크탱크 마르코폴로의 그래픽. 마르코폴로 캡처
중국 출신 美 AI 박사 80.15% 미국 잔류
다만 최근 몇 년간 미국에서 첨단 과학 및 공학 분야에 종사한 중국 출신 과학자들이 귀국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SCMP는 지적했다. 미국의 이민 정책과 국가 안보 심사가 더욱 엄격해지면서다. 에미 하인 미국 예일대 디지털 윤리센터 연구원은 “베이징은 교육 프로그램에 투자를 늘려 국내 인재를 육성하는 반면, 워싱턴은 인재 유입에 규제를 강화하면서 미국이 이중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특히 딥시크를 창업한 량원펑(梁文鋒)은 지난해 인터뷰에서 “50대 전문가는 중국에 없을 수 있지만 어쩌면 우리가 직접 그런 인재를 양성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미국이 AI 인재에 비자정책을 완화한다면 중국은 AI 인재의 유출을 막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마리나 장 호주 시드니공대 호주·중국 관계연구소 교수는 “반도체 칩 수출 통제가 효과를 발휘하고 미국이 AI 인재에 비자를 제한하는 대신 권장하기로 결정한다면 미국은 AI 인재 고갈의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화난대 IPP는 건의서에서 “미국은 ‘시장주도 규제시스템’, 중국은 ‘국가주도 규제시스템’, 유럽연합은 ‘권리주도 규제시스템’”이라며 “중국 당국이 ‘인터넷 만리장성’을 완화하고,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장려하는 등 새로운 규칙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기존 AI 정책의 변화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