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울주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흘째 계속되는 가운데, 소방당국이 ‘LA 산불’ 당시 선보인‘튜닝’ 호스까지 만들어 진화 작업에 나섰다. 사진 울산소방본부
24일 울산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22일 낮 12시 12분쯤 울주군 온양읍 운화리 야산에서 불이 시작된 후 울산과 인근 지역 소속 소방차 196대가 사흘간 산불 현장에 투입됐다. 하지만 최대 6t 상당의 물탱크가 실린 소방차는 좁고 경사진 산길 진입이 어렵다.
15m 호스 10개 연결해 150m

울산 울주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흘째 계속되는 가운데, 소방당국이 ‘LA 산불’ 당시 선보인‘튜닝’ 호스까지 만들어 진화 작업에 나섰다. 사진 울산소방본부
상 최대 10개까지 연결해 150m 길이로 개조해 쓴다. 한 소방관은 "미국 LA산불 때 미국 소방관들도 호스와 호스를 연결해서 산불 진화에 나섰다"며 "보통 소방차에 30개의 호스가 실려있지만 150m 10개 이상 연결은 물을 쏴주는 물탱크 압력이 견디지 못해 더 길게는 개조해 쓰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등짐펌브 배낭에 쇠갈퀴까지

울산 울주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흘째 계속되는 가운데, 소방당국이 ‘LA 산불’ 당시 선보인‘튜닝’ 호스까지 만들어 진화 작업에 나섰다. 사진 울산소방본부

울산 울주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흘째 계속되는 가운데, 의용소방대원 등이 등짐배낭을 이용해 잔불을 정리하고 있다. 사진 울산소방본부

울산 울주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흘째 계속되는 가운데, 산불진화차가 현장 인근에 배치돼 있다. 사진 울산소방본부
울산소방본부 관계자는 "LA산불 때도 헬기와 지금 현장에 쓰이는 소방장비로 불길을 잡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소방대원들뿐 아니라 의용소방대, 시청 군청 공무원 등을 가리지 않고 불길 잡기에 총력 대응 중이다"고 말했다.

24일 오전 10시30분 울산 울주 산불의 피해면적은 382㏊에 이른다. 진화율은 63%로, 산림당국은 헬기 12대, 인력 1900여명을 투입해 불길을 잡고 있다. 사진 울산시
산림당국 등은 최초 산불 발화 원인을 야산과 인접한 시설(농막 추정)의 용접 작업 중 불꽃이 튀면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산불 진화 후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