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환 경기 고양시장(가운데)은 31일 긴급 기지회견을 열고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중 161억원을 삭감한 고양시의회에 대해 “민생을 외면한 비상식적 결정”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사진 고양시
고양시의회는 이번 임시회를 통해 추경 예산안 중 약 161억원을 삭감했다. 삭감 대상에는 공립수목원·공립박물관 조성, 원당역세권 발전계획, 킨텍스 지원부지 활성화, 창릉천 우수저류시설, 일산호수공원 북카페 조성 등 총 47건 주요 사업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3차례 이상, 많게는 7차례나 반복적으로 삭감된 ‘단골 삭감사업’들이다. 번번이 삭감됐던 도시기본계획,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등 핵심 도시계획 사업들은 가까스로 편성은 됐으나 이 중 도시기본계획, 도로건설관리계획은 대폭 감액돼 실제 추진 시 차질이 불가피한 상태로 시는 보고 있다.
특히 이동환 시장은 인공지능·IT(정보기술) 기반 ‘거점형 스마트시티 사업’을 대표 사례로 들며 시의회를 비판했다. 이 시장은 “24시간 민원서비스, 교통흐름 최적화, 재난예방, 드론 순찰, 자율주행버스 등 시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스마트시티 사업은 단순한 예산 소비가 아니라 도시에 대한 혁신적 투자”라며 “정부가 약 400억원 중 절반을 지원하는데도, 시의회는 고양시 부담분조차 온전히 편성하지 않고 매번 삭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사업은 고양시가 전국 지자체와의 경쟁 끝에 국토부 공모에 선정된 것이다. 그러나 시의회 삭감으로 사업 자체가 흔들리는 상황이다. 이 시장은 “다른 지자체는 예산이 없어 하고 싶어도 못 하는 사업인데, 고양시의회는 스스로 하지 말자고 한다. 이것이 시민을 위한 결정인가”라고 반문했다.

이동환 경기 고양시장(오른쪽 두 번째))이 31일 긴급 기지회견을 열고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중 161억원을 삭감한 고양시의회에 대해 “민생을 외면한 비상식적 결정”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사진 고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