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뉴스1
1일 교육부가 공개한 대학별 등록 현황에 따르면 전날(31일) 기준 전체 의대생의 96.9%가 등록을 완료한 것으로 집계됐다. 교육부 측은 “정부와 의학교육계는 의대생 복귀 시한을 3월 말로 밝힌 바 있다”며 “복귀 현황은 96.9% 수준이며 제적자는 2명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전국 40개 의대 중 서울대·고려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 등을 포함해 35개 의대의 학생이 100% 등록을 완료했다. 전원 복귀하지 않은 의대 중 경상국립대(99.7%), 아주대(99.6%), 연세대(93.8%), 연세대 원주캠퍼스(91.9%) 등 4개교는 “대부분 군 입대 대기자로 인한 기타 미복귀자가 포함된 수치”라고 교육부 측은 밝혔다.
사실상 39개 의대 학생이 모두 복귀를 완료한 가운데, 인제대 의대생들만 복귀를 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5일 등록 마감하는 인제대 의대생의 복귀율은 24.2%로 집계됐다. 교육부 측은 “인제대는 4일까지 등록금을 납부해야 하는데 등록 대상자 중 370명(74.6%)이 등록 거부 의사를 밝혀 제적 예정자에 포함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의대생들이 대거 돌아오면서 의대 교육이 정상화 과정에 들어섰다고 평가했다. 관건은 복귀한 의대생들이 수업에 제대로 참여할지 여부다. 교육부 측은 “의과대학 수업 진행 상황을 살펴본 후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의대 학장 모임인 한국의대·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등과 종합적으로 논의해 모집 인원 조정 방향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날 의총협 측은 ‘의과대학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 서신을 통해 “일각에선 복학만 한 채 수업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데, 이런 일이 일어나선 절대 안 된다”며 “올해는 작년과 달리 학사 유연화 조치를 시행하지 않을 것이며 등록 후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유급이나 제적이 불가피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