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논란 사건’ 처리 후 숨진 권익위 전 간부 순직 인정

국민권익위원회. 연합뉴스

국민권익위원회.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의혹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건을 연이어 처리하고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국민권익위원회의 전 간부가 업무 과중에 따른 순직을 인정받았다.

인사혁신처는 31일 권익위 부패방지국장 직무대리 A씨 유족이 신청한 순직유족급여 청구를 승인한 사실을 유족 측에 통보했다.

A씨는 지난해 3월 권익위에서 청탁금지법을 담당하는 부패방지국장 직무 대리를 맡아 김 여사의 명품 가방 수수 의혹 사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응급 헬기 이용 사건, 류희림 방송통신심의위원장의 청부 민원 의혹 사건 등의 조사를 지휘했다.

A씨는 이처럼 정치적 논란을 야기한 사건을 잇달아 처리한 데 이어 당시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까지 추진하면서 스트레스와 업무 과중을 호소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A씨 유족은 지난해 11월 권익위에 A씨 순직을 신청했고 권익위는 같은 달 재해경위서와 순직신청서를 인사처·공무원연금공단에 제출했다.


서류에는 A씨의 죽음이 직무 수행 중에 발생했으며 직무와 관련성이 있다는 내용 등이 종합적으로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인사처 공무원재해보상심의회는 지난 19일 회의를 열어 A씨에 대한 순직을 인정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유족은 유족보상금과 유족급여를 수령할 수 있게 됐다. 일시금으로 지급되는 순직유족보상금은 공무원 전체 기준소득월액 평균액의 24배에 해당한다.

순직유족연금은 공무원의 사망 당시 기준 소득월액의 38%를 기본으로 하며 유족 1인당 5%를 가산해 최대 20%까지 추가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