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부터 자율주행까지 총 집합…서울모빌리티쇼 4일 개막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 행사에 인파가 몰린 모습. 사진 현대차그룹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 행사에 인파가 몰린 모습. 사진 현대차그룹

국내 최대 모터쇼 중 하나인 ‘2025 서울모빌리티쇼’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4일 막을 연다. 국내외 완성차 업체들은 공식 개막 하루 전인 3일 ‘미래 모빌리티 기술’이 집약된 신차들을 공개하고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선보였다.

올해 30주년을 맞이하는 서울모빌리티쇼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세계자동차공업협회(OICA)가 공인한 국제 자동차 박람회다. 4일 개막하는 이번 박람회는 ‘공간을 넘어, 기술을 넘어’를 주제로 13일까지 열흘 동안 진행된다. 

정유석 현대차 국내사업본부장 부사장이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 행사에서 '디 올 뉴 넥쏘'를 공개하는 모습. 연합뉴스

정유석 현대차 국내사업본부장 부사장이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 행사에서 '디 올 뉴 넥쏘'를 공개하는 모습. 연합뉴스

이번 박람회에서 가장 큰 전시 공간을 마련한 건 현대차다. 현대차는 2600㎡(약 787평)의 전시 부스에서 신형 수소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디 올 뉴 넥쏘’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디 올 뉴 넥쏘는 2018년 3월 출시 이후 7년 만에 선보이는 완전 변경 모델이다. 외관은 스포츠유틸리티차(SUV)다운 강인한 이미지를 담아내면서도 수소 전기차만의 독특한 외형을 갖췄다. 5분 내외의 짧은 충전시간으로 700㎞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현대차는 인류를 위한 진보라는 미션을 가지고 현재와 미래를 함께 고민한다”면서 “수소에너지는 미래 세대에 아주 좋은 기술”이라고 말했다.

기아가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에서 목적기반차량(PBV) 'PV5'의 물류 배송 모델 '카고(왼쪽)'와 승객 탑승 모델 '패신저' 모습. 사진 현대차그룹

기아가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에서 목적기반차량(PBV) 'PV5'의 물류 배송 모델 '카고(왼쪽)'와 승객 탑승 모델 '패신저' 모습. 사진 현대차그룹

기아는 국내 처음으로 공개한 목적기반차량(PBV) ‘더 기아 PV5’도 눈길을 끌었다. 넓은 실내와 화물 공간을 갖추고, 용도별 다양한 상부 차제를 탑재해 소형부터 대형 PBV까지 폭넓은 제품 라인업을 대응이 가능하다. 기아는 PV5를 총 14종의 모델로 출시할 예정이다. 정원정 기아 국내사업본부장은 “고객의 필요와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맞춤형 솔루션으로서 모빌리티 시장의 새 지평을 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브리핑 행사에서 발언하는 모습. 연합뉴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브리핑 행사에서 발언하는 모습. 연합뉴스

이날 현대차그룹 주요 경영진은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에 대한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관세 발표를 지켜보았고, 그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며 “현재는 미국 시장에서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단기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호성 기아 사장도 “현재까지 미국 시장에서 가격을 인상할 계획은 없다”며 “멕시코 공장 생산에도 변화는 없다”고 말했다.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 행사에서 BYD가 국내 2번째 승용차 모델 씰을 공개하는 모습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 행사에서 BYD가 국내 2번째 승용차 모델 씰을 공개하는 모습

국내 모빌리티쇼에 처음으로 참가한 중국 전기차 브랜드 비야디(BYD)는 이날 국내 2번째 승용차 출시 모델 ‘씰’을 공개했다. 중형 전기세단 ‘씰’은 낮은 차체와 유선형 디자인으로 쿠페형 차량의 느낌을 냈다. 갖췄다. BYD는 자사 전기차 모델 중 처음으로 차체와 배터리를 통합한 ‘셀 투 바디’ 기술을 적용해 안전성과 성능을 높였다고 소개했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는 “4000만원 후반과 5000만원 초반 사이에서 가격이 결정될 것”이라며 “관련 절차가 마무리되면 최대한 빠르게 출시하겠다”고 말했다.

HD현대가 서울모빌리티쇼에ㅓㅅ 공개한 차세대 굴착기 모델 2종 모습. 사진 HD현대

HD현대가 서울모빌리티쇼에ㅓㅅ 공개한 차세대 굴착기 모델 2종 모습. 사진 HD현대

이번 행사에선 완성차 기업 외에도 여러 모빌리티 기업이 참가해 미래 기술을 선보였다. HD현대는 차세대 건설기계 모델로 40톤(t)급 굴착기와 24t급 굴착기 2종을 공개했다. 새 모델은 전자제어 유압시스템 등 첨단 기술을 탑재해 기존 모델보다 작업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였다. 조영철 HD현대사이트솔루션 사장은 “HD현대 건설기계 부문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한데 모아 완성한 주력상품”이라며 “차세대 신모델을 필두로 글로벌 톱 메이커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롯데이노베이트는 국내 최초로 시속 40㎞ 주행 허가를 받은 자율주행 셔틀 차량을 공개했고, 삼보모터스그룹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모델로 다인승 수직 이착륙기 ‘H-32’를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