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주 만에 -14%. 진절머리나서 손절(손해 보고 파는 것)합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 국내 증시가 휘청인 3일, 주식 커뮤니티에선 이런 하소연이 넘쳤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2437.43(-2.73%)까지 밀리다가, 낙폭을 줄여 2486.7(-0.76%)로 장을 마쳤다. 수출 비중이 큰 반도체·자동차주의 충격이 컸다. 삼성전자(-2.04%)와 SK하이닉스(-1.67%), 현대차(-1.27%)가 줄줄이 하락했다. 외환시장도 출렁였다. 달러당 원화가치는 0.4원 내린(환율 상승) 1467원에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26%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종가 현황이 표시돼 있다. 뉴스1
일단 상호관세가 악재라는 데엔 이견이 없었다. 박상현 iM증권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에 적용되는 상호관세율(26%)은 시장의 예상을 넘어서는 최악의 수준에 가깝다”며 “증시도 악영향을 받을 공산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세부적인 시장 전망은 엇갈렸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미국의 무역적자 폭이 큰 15개국(‘더티15’)에 한국이 포함될 수 있는데다, 중국이 보복 관세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며 “최악의 경우 코스피가 2400 아래로 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재민 기자
이진우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최근 코스피 PBR(주가순자산비율)이 0.8배(지수 기준 2436) 아래에서 오래 머문 적이 없다”며 “구조적인 국가·기업 경쟁력 저하 등이 지수를 누르지 않는 한 회복 탄력성이 강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시 반등의 실마리 역시 미국이 쥐고 있다.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상호 관세율이 낮춰지거나, 유예안이 나와 우려가 진정돼야 한다는 게 공통된 견해다. 또 국내 산업의 경우 반도체 업황이 살아날 것이라는 신호가 보다 뚜렷해져야 힘을 받을 거란 분석이다.

정근영 디자이너
상호 관세 대상에서 빠진 반도체 종목에 투자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시각이 있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트럼프의 관세 영향으로 한국 수출이 약 10% 감소할 수 있지만,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낮은 반도체 업종은 부담이 작을 수 있다. 반도체 위주로 주식을 모을 만하다”고 했다.
미국 증시에 투자하는 ‘서학개미’도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황수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미국 경제는 관세 여파로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지금은 현금 비중을 높이거나 헤지(위험 회피) 수단인 금을 사는 게 좋고, 미국 주식 중에선 변동성이 작은 통신서비스·보험·헬스케어 업종에 접근하는 게 괜찮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