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에 뭐 심을까…'탄소 흡수 2배' 자생나무 10종은

참나무과 활엽수인 상수리나무 전경.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참나무과 활엽수인 상수리나무 전경.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식목일을 하루 앞둔 4일 국립공원공단이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높은 우리나라 자생 나무를 10종을 선정해 식목일 묘목으로 추천했다.

선정된 10종의 나무는 상수리나무, 물박달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들메나무, 갈참나무, 곰솔, 떡갈나무, 가래나무, 굴참나무다. 소나무와 곰솔은 침엽수, 다른 8종은 활엽수다. 

이들은 국립공원 내 84종 식물의 연평균 탄소 흡수량 평균보다 2배 이상 탄소 흡수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국립공원공단은 2023년부터 설악산 등 14개 국립공원 84종 식물의 연평균 탄소 흡수량을 조사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84종의 연간 탄소 흡수량은 그루당 7.37㎏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10종 가운데 탄소 흡수량이 가장 높은 상수리나무는 그루 당 연간 30.12㎏을 들이마셔, 평균의 4배에 달했다. 상위 10종 가운데 흡수량이 가장 낮은 굴참나무도 그루 당 연간 15.36㎏의 탄소를 흡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

 
국립공원공단은 “이들 10종 묘목은 온·오프라인에서 어렵지 않게 구매할 수 있으나, 키가 높게 자라는 목본식물인 만큼 수종별 특성과 식재 여건을 고려해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전했다.


 
국립공원공단은 올해까지 23개 모든 국립공원의 자생 식물별 탄소흡수량 평가를 마칠 계획이다. 현재까지 조사 결과 국립공원 내 평균 탄소 흡수량은 1헥타르(㏊) 당 연간 14.30톤(t)으로 나타났다. 인공조림지(15.44t)으로 탄소 흡수량이 가장 많았고, 이어 활엽수군락(14.63t), 침엽소 활엽수 혼효림 군락 (14.71t), 침엽수 군락(12.86t), 아고산대 침엽수 군락(11.73t)으로 나타났다.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모든 평가가 마무리 되면 지역과 입지 환경에 따라 어떤 식물을 심어야 탄소 흡수 효과가 뛰어난 지 알 수 있게 된다”며 “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보다 과학적인 공원 식재 계획을 세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