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뉴시스
지난 2월 서울시가 토지 거래 허가 구역을 해제한 이후 39일간 '잠삼대청'(잠실·삼성·대청·청담동)의 아파트 거래량이 25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후인 2월 13일부터 재지정 시행 직전인 3월 23일까지 39일간 서울 전체 매매 거래량은 9665건(지난 4일 기준)이다. 이는 해제발표 직전 같은 기간(1월4일~2월11일, 39일)의 거래량(4559건)보다 약 2.1배 많다.
이 중 서울 송파구 잠실동과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의 아파트 거래는 모두 353건으로 나타났다. 직전 39일의 거래량인 99건에서 256.6% 증가했다.
토지 거래 허가 구역이 해제된 후 잠삼대청 지역에서는 신고가에 거래된 사례가 총 84건으로 직전 39일간(13건)보다 546.2% 증가했다. 이 기간 서울 전체에서 신고가 거래(362건→839건) 증가율인 131.8%를 크게 앞질렀다.
해제 후 '잠삼대청' 지역 중 거래가 가장 많은 곳은 잠실동으로 135건이었다. '대표 단지'라 불리는 리센츠 38건, 잠실엘스 34건, 트리지움 30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송파 다음으로는 삼성동(86건), 대치동(71건), 청담동(61건) 순으로 거래가 많이 발생했다.
이 4개 동을 제외한 자치구별 거래량에서도 강남구가 676건으로 가장 앞섰다. 강동구와 송파구가 각각 652건, 성동구가 637건으로 뒤를 이었다.
직방 관계자는 "규제지역 재지정으로 인해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 거래 위축이 불가피할 전망이며, 대출 규제 및 세제 강화 조치가 다시 적용되면서 매수자들의 관망 심리가 짙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