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여의도 LG전자 사옥의 모습. 연합뉴스
LG전자에 따르면, 1분기 매출은 지난해 동기(21조959억 원)보다 7.8% 증가하며 1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5.7% 감소했다. LG전자는 “고정비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영업이익이 다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김영옥 기자
구독 사업 성과도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LG전자는 올해 구독 적합형 라인업을 보강하고 케어서비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구독 사업의 해외 진출도 확대한다. 생활가전 사업은 B2C 주력 제품의 프리미엄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며, 전장 사업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차량용 콘텐트 플랫폼 등으로 사업 모델을 다각화한다.
1분기 실적에는 트럼프 관세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다. 2분기 실적부터가 기업의 대응 능력이 판가름 날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박상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LG전자 실적에서 가장 중요한 분기는 2분기”라며 “수익성을 고려할 때 관세 확대에 따른 판매가격 인상은 불가피하기에, 판매량 축소를 최소하하는 선에서 절묘한 가격정책으로 실적을 방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하루 앞으로 잠정실적 발표일이 다가온 삼성전자에도 눈길이 쏠리고 있다. 이날 기준 삼성전자의 에프앤가이드 영업이익 컨센서스(전망치 평균)는 전년동기 대비 23%가량 감소한 5조1148억원이다. TVㆍ가전 경쟁 심화, 디스플레이 수익성 둔화 등의 악재가 작용한 데 더해 반도체 부문의 부진 영향이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 DS부문이 올해 1분기 메모리 사업에서 일정 부분 이익을 내고도 시스템LSI, 파운드리(위탁생산) 사업에서 생긴 대규모 적자로 인해 영업손실을 입었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다만 1분기 최저점을 찍고 2분기부터는 업황 개선 등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업계와 증권가는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