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김건희 피의자 신분 출석 요구…“尹 부부 수사 신호탄”

김건희 여사와 김영선 전 의원.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송봉근 기자

김건희 여사와 김영선 전 의원.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송봉근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건희 여사 측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을 요구한 것으로 7일 파악됐다.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사건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최근 김 여사 측에 “공천개입 의혹 관련해 대면조사 필요성이 있으니 출석해달라”는 뜻을 구두로 2차례 전달했다.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가 이뤄지기 전 시점이었다고 한다. 김 여사에 대한 소환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두 사람에게 그동안 제기된 각종 의혹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 신호탄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 여사는 공직선거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고발돼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김 여사는 20대 대선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과 함께 명태균씨로부터 여론조사(81회)를 무상으로 제공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2022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 공천에 개입한 혐의도 적용됐다. 검찰은 김 전 의원이 2022년 6월 재·보궐선거 공천을 받는 과정에 김 여사가 개입했다고 의심한다. 김 여사가 명씨로부터 불법 여론조사를 제공받은 대가로 이 같은 역할을 했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명씨의 ‘황금폰(휴대전화와 USB)’ 포렌식 등을 통해 윤 전 대통령 취임식 전날인 2022년 5월 9일 김건희 여사가 명씨에게 “당선인이 지금 전화했어요”, “걱정하지 마세요. 잘 될 거예요”라고 말하는 등 공천에 개입한 듯한 정황을 파악했다.

지난해 2월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 여사가 명씨에게 김상민 전 검사의 공천을 청탁했다는 정황도 포착했다. 검찰은 지난해 2월 18일 명씨가 김 여사에게 “김 전 의원은 김해에 연고가 없어 경선에 참여하면 이길 방법이 없다”는 취지의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내고 김 여사가 “단수 공천을 주면 좋지만, 기본 전략은 경선”이라고 답한 대화 내용도 파악했다. 김 전 의원 측은 당일 밤 현역 지역구인 창원 의창 출마를 포기하고 김해 갑에 출마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명씨 측은 김 여사가 지난해 4·10 총선을 앞두고 김 전 의원이 컷오프(공천 배제))되자 “김상민 검사가 창원 의창 국회의원이 되게 도와달라”고 부탁했다는 복기도 공개했다. “김상민 (전) 검사의 당선을 지원하면 선거 뒤 장관 또는 공기업 사장 자리를 주겠다”고 제안했단 내용이다. 당시 김 전 검사는 현직 검사 신분으로 총선 출마를 선언해 논란이 일었다. 법무부로부터 정직 3개월 징계를 받고 퇴직한 뒤 국민의힘 예비후보로 등록했지만 컷오프됐다.


明, 김 여사 통해 국정 관련 조언 

명태균씨와 김건희 여사의 대화기록. 사진 시사인 캡처

명태균씨와 김건희 여사의 대화기록. 사진 시사인 캡처

명씨가 대선 이후에도 김 여사를 통해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외교 방향 등을 조언한 정황이 담긴 메시지가 공개되기도 했다. 검찰이 명씨의 ‘황금폰’과 강혜경(48)씨로부터 압수한 명씨의 컴퓨터 등에 대한 압수 수색에서 확보한 280여개의 명씨와 대통령 부부 간 텔레그램·카카오톡 메시지 캡처 파일엔 2021년 6월부터 2023년 4월까지 명씨가 윤 대통령 부부에게 각종 의견을 전달한 정황이 고스란히 담겼다. 검찰은 김 여사를 불러 조사한 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소환조사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