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가운데)과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부회장(오른쪽 첫째)이 28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랭햄 호텔에서 열린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인도네시아 관계자와 대화하고 있다. 한경협 제공
한경협은 28~29일(현지시간) 일정으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재계 최고경영자(CEO)급 24명으로 구성한 경제사절단을 파견했다. 프라보워 정부가 출범한 뒤 한국 정부 및 경제계 차원에서 처음 파견한 사절단이다. 사절단은 28일 메르데카 대통령궁에서 프라보워 대통령 주최로 열린 오찬 간담회에 참석했다.
신 회장은 간담회에서 “한국 경제계는 프라보워 대통령이 중점 육성하는 다운스트림(원자재를 추출·정제한 뒤 가공해 부가가치가 높은 석유화학 제품으로 바꿔 소비자에게 공급) 산업,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 디지털 경제 분야에서 인도네시아 기업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신 회장은 또 “롯데는 대규모 석유화학단지를 조성해 인도네시아의 다운스트림 화학제품 생산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며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 외국인 직접투자(FDI) 사례로 약 1만4000개의 직접 고용을 창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절단에는 신 회장과 아들인 신유열 롯데지주 부사장 외에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 성김 현대차 사장, 천성래 포스코홀딩스사업시너지본부장, 이영준 롯데케미칼 사장, 윤춘성 LX인터내셔널 사장, 이재근 KB금융지주 글로벌사업부문장, 나채범 한화손해보험 사장, 김영주 종근당 사장, 허진수 SPC 사장, 변종오 KCC글라스 사장 등이 참석했다.
사절단에 참석한 기업은 270조 루피아(약 23조원) 규모 현지 투자를 마쳤으며 첨단 제조업, 광물 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추가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롯데쇼핑은 유통, 현대차는 전기차 생태계, 한화손해보험은 금융, KCC글라스는 유리산업 분야에서 대규모 신규 투자를 준비 중이다. 종근당(제약), HD현대사이트솔루션(기계), SPC(식품), 메가존클라우드(AI)도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프라보워 대통령과 면담에 앞서 한경협은 인도네시아경영자총협회(인니경총)와 공동으로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열었다. 신 회장은 이 자리에서 “아세안 최대 경제 대국인 인도네시아는 한국 기업의 핵심 파트너”라며 “한국 기업은 인도네시아가 자원 중심 경제에서 가치 창출 경제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전략적 동반자”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