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해킹 관련 부정인증 등 징후 포착 안돼”…당국, 비상대응본부 구성

 

30일 금융위원회는 권대영 사무처장(사진) 주재로 ‘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 관련 금융 유관기관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은 뉴스1.

30일 금융위원회는 권대영 사무처장(사진) 주재로 ‘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 관련 금융 유관기관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은 뉴스1.

금융권에서 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 관련 부정인증 증가 등 특이한 징후는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당국은 2차 피해를 차단하기 위해 비상대응 본부를 구성하고, 금융권 점검 주기를 일단위로 강화한다.  

30일 금융위원회는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 관련 금융 유관기관 점검 회의’를 개최한 뒤 이같이 결정했다. 이날 회의엔 금융감독원, 금융보안원, 신용정보원, 금융결제원, 금융사별 협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현재 부정인증과 관련해 특이 징후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며 “기관별로 사고 예방을 위한 보안조치를 시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부정인증 같은 사고 예방을 막기 위해선 금융회사의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강화와, 이상 징후 발생 시 신속한 정보 공유를 통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날 회의에선 대응책도 내놨다. 금융당국은 금융권 피해 예방을 위해 비상대응본부를 구성해 신속연락체계를 구축한다. 매일 금융권 대응 현황과 특이 사항 점검에 나서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또 금융결제원과 신용정보원 등 금융인프라 기관에 해킹에 대비해 상시 보안 점검도 강화하기로 했다.  


권대영 처장은 “SKT 해킹 사고가 금융 보안 사고로 이어질 경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안을 야기 할 수 있다”며 “특히 노령층 등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