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서울 한 대학병원에 전공의 전용공간 표지판이 놓여있다. 뉴시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13일) 대전협, 대한의학회, 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수평위), 대한내과학회·대한외과학회·대한신경과학회 등 주요 전문학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전공의 수련환경 자문회의'를 열었다.
정부, 당사자인 전공의, 수련 교육을 주관하는 대한의학회, 수련 정책 전반을 심의하는 수평위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한 점을 들어 수련의 제도 개선 논의가 본격화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 위원장과 대전협이 정부와 대화 테이블에 나선 걸 두고 의료계에선 "강경 노선을 유지해온 대전협이 투쟁 방식을 바꾸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13일 비공개로 진행된 첫 회의는 향후 회의 방식·성격 등을 논의하는 '킥오프' 성격이었다. 회의에 참석했던 한 학회 관계자는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참석자 모두가 공감했던 자리"라고 설명했다. 다른 학회 관계자는 "현 수평위 체계만으로는 실질적인 수련 환경 개선이 어렵고, 독립된 수련 평가 기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였다"고 전했다.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은 대전협이 의정갈등 국면에서 제시한 '7대 요구안' 중 하나다. 앞서 지난달 30일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7대 요구안 관련 내부 조사에서 "현재 대전협은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을 대선 전에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목표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박 위원장은 지난 3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에 관한 국회 토론회에서 향후 정부와 대화 여부를 묻는 기자들에게 "하나씩 저희 문제에 대해서 풀어가려면 이런 이야기들도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