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완성 못한 무기…북한서 공대공 미사일 실사격 첫 공개

북한 미그-29 전투기가 지난 15일 중거리 공대공미사일을 실사격하고 있다. 공대공미사일은 한국도 국산화를 완성하지 못한 무기체계다. 조선중앙통신=뉴스1

북한 미그-29 전투기가 지난 15일 중거리 공대공미사일을 실사격하고 있다. 공대공미사일은 한국도 국산화를 완성하지 못한 무기체계다. 조선중앙통신=뉴스1

 
북한의 전투기가 자체 제작한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실사격하는 장면이 17일 처음 공개됐다. 이 미사일은 북·러 군사협력에 따라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기술을 이전 받아 개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은 아직 공대공 미사일을 자체 개발하지 못했다. 

이날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틀 전 북한 공군의 반항공(방공) 전투 및 공습 훈련을 현지지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미그-29 전투기에서 신형 공대공 미사일로 추정되는 미사일과 활공유도폭탄을 발사해 순항미사일과 무인기 표적을 격추하는 훈련 장면을 공개했다. 북한은 2021년 국방발전전람회 ‘자위-2021’ 행사장에서 처음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공개한 바 있다.  

북한은 15일 공군비행대들의 반항공전투 및 공습훈련을 실시했다. 뉴스1

북한은 15일 공군비행대들의 반항공전투 및 공습훈련을 실시했다. 뉴스1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우리 군도 개발 초기 단계인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해 실사격 훈련 모습까지 공개했다”며 “북한은 (이번 실사격 훈련에서) 단거리 공대공 능력만 보여줬지만, 기술적 난도가 높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체계통합기술(레이더 등 항전장비와 미사일)을 어느 정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북한 노동신문은 17일 김정은이 이틀 전 조선인민군 근위 제1공군사단 관하 비행연대를 방문하시고 공군비행대들의 반항공전투 및 공습훈련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뉴스1

북한 노동신문은 17일 김정은이 이틀 전 조선인민군 근위 제1공군사단 관하 비행연대를 방문하시고 공군비행대들의 반항공전투 및 공습훈련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뉴스1

 
미그-29가 발사한 신형 공대공 미사일이 격추한 공중 표적은 ‘북한판 우란’으로 불리는 대함미사일과 가오리 형상의 무인기로 보인다. 한국군의 순항미사일과 가오리형 무인기에 대한 공대공 전투능력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 신형 공대공 미사일의 외형은 미국산 ‘암람’ 혹은 중국산 ‘PL-12’ 유사한 것으로 평가된다.

유 의원은 “북한 신형 공대공 미사일은 중국 PL-12와도 유사하고, PL-12도 러시아의 기술지원으로 개발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러시아의 공대공 미사일 기술이 북한에 제공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또 북한은 신형 공대공 미사일을 지대공 및 함대공 미사일로 개량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의 공대공미사일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인 무기체계다. 공대지 미사일도 전투기용은 2028년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다만 헬기에 장착하는 공대지미사일은 이미 개발돼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7일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5월 15일 조선인민군 근위 제1공군사단 관하 비행연대를 방문하시고 공군비행대들의 반항공전투 및 공습훈련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7일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5월 15일 조선인민군 근위 제1공군사단 관하 비행연대를 방문하시고 공군비행대들의 반항공전투 및 공습훈련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뉴스1

 
한편 조선중앙통신은 GPS활강유도폭탄과 광학활강유도폭탄으로 추정되는 공대지 폭탄도 이날 공개했다.

유 의원은 “공대지 정밀타격 능력 확보를 위해 북한판 KGGB(한국형 GPS공대지유도폭탄)를 개발 중”이라고 진단했다.

이날 무인기들의 시위비행도 실시됐다. 공개된 사진에는 2023년 7월 ‘무장장비전시회-2023’ 행사장에서 처음 외형이 공개된 전략무인정찰기 ‘샛별-4형’(북한판 ‘글로벌호크’)과 공격형무인기 ‘샛별-9형’(북한판 ‘리퍼’)의 비행 모습도 있었다. 특히 북한판 리퍼 편대 비행 장면은 처음으로 노출했다.

유 의원은 북한 무인기의 외형에 대해 “유사시 한반도에 투입되는 미군 무인기를 극단적으로 복제해 피아 식별이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또한 “북한군은 우크라이나전쟁에서 쌓은 현대전 경험을 군사전술과 국방과학기술에도 적용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북한군의 공중 재래식 전력 현대화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