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베일 벗은 정진석 비대위…통합 강조했지만 또 ‘윤심’ 논란 지난달 26일 법원이 이준석 전 대표가 신청한 효력정지 가처분을 인용해 ‘주호영 비대위’가 좌초한 지 18일 만이다. 이에 더해 대표적 친윤계로 꼽히는 검사장 출신 정점식 의원, 대선 당시 윤석열 선대위 대변인을 지낸 김병민 당협위원장 등이 포진하자 당 일각에선 "통합형이 아니라 친윤형 비대위"(재선 의원)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민의힘 측은 이준석 전 대표가 정 위원장 직무를 정지시켜 달라며 신청한 4차 가처분 심문 기일을 연기해달라고 요청했고, 법원이 이를 받아들여 기존 14일에서 28일로 연기했다.
-
교육수장 37일째 공석…"세 번 낙마 안 돼" 신중한 대통령실 지난 7일 대통령실은 복지부 장관 후보자를 발표하면서 교육부 장관 지명에 대해 "조속한 시일 내 말씀드리겠다"고 했지만, 1주일째 결론을 내놓지 않고 있다. 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지명되면서 교육부는 수장이 없는 유일한 부처 신세가 됐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13일 "인사청문회 통과를 위해서는 관료 출신을 장관에 앉히는 방안이 무난하지만, 개혁성이 떨어진다는 딜레마가 있다"며 "그렇다고 외부인인 대학교수 중 장관 후보자를 찾자니 적당한 연령대에서 연구 윤리와 자녀 입시 문제 등 개인 신상에 문제가 없으면서 정무 감각을 두루 갖춘 인사를 찾기가 어려운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