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전경 [뉴시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9/13/9e2b3663-999e-4299-b43a-edd45b4ac8d3.jpg)
교육부 전경 [뉴시스]
“3번 낙마 안돼”…고민 커지는 대통령실
국회 교육위원회의 핵심 관계자는 “부총리 자리에 차관을 내부 승진시키기 어렵고 외부에서 교수를 모셔오자니 논문 윤리 검증을 통과하기가 쉽지 않아 고민이 클 것”이라고 짚었다. 그는 “다음 달 4일 국정감사가 시작되기 전에 인사청문회를 진행해야 하는 만큼 대통령이 영국 순방에 나서는 18일 이전에 교육부 장관 인사 윤곽이 나올 것이라고 본다”고 전망했다.
후보자 검증이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정부의 교육개혁 작업도 더 늦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해결되지 않고 대립각이 서 있는 교육 현안들은 쌓여가고 있다. 수도권 대학 정원을 늘리는 방향의 첨단 분야 인재 양성 방안은 지방대 반발에 부딪혔고, 초·중등 교육에만 쓰이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일부를 떼어 내 대학에 투입하는 교육재정 개편안은 17개 시·도 교육감들이 반대하고 있다. 복지부와 교육부가 담판 지어야 할 유보통합(유치원·어린이집 통합) 논의 역시 지지부진하다.
새 장관이 최종 고시하게 될 2022 개정 교육과정도 공개 직후 역사 교과에 ‘6·25 전쟁 남침’, ‘자유민주주의’ 등의 표현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며 이념 논쟁에 휩싸인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