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비가 올림픽에서 쓴 캐디백. [신화통신=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8/09/47c79f92-66ff-4392-8352-4773eb649f99.jpg)
박인비가 올림픽에서 쓴 캐디백. [신화통신=연합뉴스]
그러나 올림픽 골프 개인전에 감독이 필요한지는 의문이다. 마스터스에 한국 선수 여러 명이 나가는데 그들을 통솔할 감독이 필요할까. 그렇지 않다. 골프는 철저한 개인전이기 때문이다. 올림픽 골프도 선수들이 태극마크를 달기는 했지만, 개인전이라는 본질은 일반 대회와 다르지 않다. 개인전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한국 선수들끼리도 경쟁자다.
과거 골프 국가대표팀 등에서 감독이 선수들에게 기술 지시를 하기도 했는데 반발이 있었다. 선수들은 대부분 개인 코치가 있고 스윙 방식이 다른데 감독이 어떤 식으로 하라고 지시하면 문제가 생긴다.
라이더컵처럼 팀 경기를 한다면 감독 역할을 할 사람(캡틴)이 필요하다. 필승 조를 어디에 배치하고 누구와 누구를 함께 뛰게 할 건지 등 전략적으로 중요한 결정을 해야 한다. 그러나 개인전에 그런 작전은 필요 없다. 선수들은 경기위원회에서 짜 준 시간표대로 나가서 칠뿐이다.
![세계 랭킹 2위 고진영. [신화통신=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8/09/f40b7b9a-d0a1-48a8-90e1-2d750912f727.jpg)
세계 랭킹 2위 고진영. [신화통신=연합뉴스]
이번 올림픽에서 한국처럼 감독을 둔 나라는 호주와 일본뿐이었다고 한다. 성적이 그리 좋지 않았다. 일본은 리우 올림픽에서는 감독을 두지 않았는데, 이번 올림픽은 자국에서 경기하니 뭔가 보여주려 한 것 같다. 호주는 이언 베이커 핀치가 선수들의 컨디션 관리 등을 도왔다. 남자 여자 4명씩 총 8명을 출전시키고 금메달 두 개를 다 가져간 미국을 비롯해 다른 출전국들은 감독이 없다.
최경주와 박세리는 개별적으로 활동하던 스타 선수들을 묶어 연대감을 만들어 줄 아우라가 있다. 그러나 반대로 선수들이 레전드 감독 때문에 부담을 가질 수 있다. 평소 투어에서 하던 대로 캐디와 개인 코치와 함께 있는 것이 선수들로선 가장 편하다. 감독이 있으면 일정이 추가될 수 밖에 없는데 필요한 것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을 것이다.
![임성재. [EPA=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8/09/13c09465-0220-4035-a8d6-b893ac96eaa2.jpg)
임성재. [EPA=연합뉴스]
골프의 특성을 누구보다 잘 아는 최경주와 박세리가 선수들에게 스윙 기술이나 코스 전략 등을 가르치려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반대로 말하면 감독으로서 역할이 그리 많지 않다는 뜻이다.
올림픽 골프에 감독이 필요하다면 최적의 인물은 최경주와 박세리다. 그러나 지금처럼 개인전만 할 경우 감독이라는 자리는 굳이 필요 없을 것 같다.
성호준 골프전문기자
sung.hoj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