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다는 돼지국밥 나오나…미쉐린, 서울 이어 부산 찍었다

 
세계적인 레스토랑 가이드 미쉐린 가이드가 부산편을 발간한다. 2016년 선정된 서울 이후 국내에서는 두 번째 도시다. 미쉐린 가이드는 부산편을 통해 특색 있는 지역 음식을 강점으로 한 미식 도시 부산의 가능성을 조명한다는 계획이다. 국제 관광 도시로서의 위상 제고와 함께 2030년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한 포석이 될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미쉐린 가이드가 오는 2024년 2월 미쉐린 가이드 부산편을 발간한다고 1일 밝혔다. 사진 미쉐린 가이드

미쉐린 가이드가 오는 2024년 2월 미쉐린 가이드 부산편을 발간한다고 1일 밝혔다. 사진 미쉐린 가이드

미쉐린 가이드는 1일 부산 파크하얏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미쉐린 가이드 부산편을 내년 2월에 발간한다고 발표했다. 미쉐린 가이드가 선정한 부산 지역 레스토랑 목록은 ‘미쉐린 가이드 서울&부산 2024’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이날 기자 간담회에는 박형준 부산광역시장, 이정실 부산관광공사 사장 및 크리스 글레드힐(Chris Gledhill) 미쉐린 가이드 아시아·태평양 및 중동 지역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식재료 풍부한 부산, “미식 도시 잠재력 있어”

미쉐린 가이드 부산 발표 현장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정실 부산관광공사 사장, 크리스 글레드힐 미쉐린 가이드 아시아 및 중동지역 비즈니스 파트너십 부사장, 박형준 부산시장, 엘리자베스 부쉐-앙슬랑 미쉐린 익스피리언스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사진 미쉐린 가이드

미쉐린 가이드 부산 발표 현장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정실 부산관광공사 사장, 크리스 글레드힐 미쉐린 가이드 아시아 및 중동지역 비즈니스 파트너십 부사장, 박형준 부산시장, 엘리자베스 부쉐-앙슬랑 미쉐린 익스피리언스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사진 미쉐린 가이드

미쉐린 가이드 측은 국내 두 번째 도시로 부산을 선정한 이유로 미식 도시로서 부산의 잠재력을 첫손에 꼽았다. 특히 항구를 통해 공급되는 풍부한 식재료는 부산만의 강점이다.  

그웬달 뿔레넥(GwendalPoullennec) 미쉐린 가이드 인터내셔널 디렉터는 “풍부한 해양 자원 등 다양한 매력을 가진 부산은 특색 있는 미식 도시로 성장할 잠재력이 높은 도시”라며 “앞으로 전 세계에 한국의 다채로운 미식 문화를 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엘리자베스 부쉐-앙슬랑미쉐린 가이드 홍보 디렉터는 “미식 도시가 되려면 좋은 레스토랑과 질 좋은 음식, 고객이 필요하다”며 “부산은 이 세 가지가 모두 있는 데다 해양도시라는 점에서 재료의 풍성함도 남다르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2030 엑스포 유치 앞둔 부산, 인지도 제고

이번 미쉐린 가이드 부산편은 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앞두고 국제적 관광 도시로서 부산 위상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미쉐린 가이드의 객관성을 바탕으로 보다 정제된 지역 미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행사에 참석한 박형준 부산광역시 시장은 “최근 부산에도 작지만 강한 쉐프 식당들이 많이 생기고 있고, 예약하기 어려울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며 “미쉐린 가이드 발간은 부산이 세계적 관광도시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실 부산관광공사 사장은 “세계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부산을 방문하는 동기 2위가 미식이었다”며 “미쉐린 가이드가 부산 미식 관광 성장에 자극제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밀면, 돼지국밥...‘글로컬’ 트렌드 이끈다

미쉐린 가이드 측은 부산편을 통해 서울과는 다른 부산만의 미식 문화를 조명할 예정이다. 이는 최근 세계 무대서 주목받고 있는 한식의 다양성을 전한다는 면에서도 의미를 더한다. 

행사에 참석한 박홍인 ‘바앤다이닝’ 편집장은 “최근 세계 미식 업계에서 ‘글로컬(glocal·지역 특성을 살린 세계화)’ 바람이 불고 있고, 각 지역의 미식 문화를 상품화하려는 경쟁이 뜨겁다”며 “밀면이나 돼지국밥 등 부산의 역사성·지리적 차별점을 반영한 음식으로 부산만의 미식 문화를 개발할 수 있다면 좋겠다”고 바람을 전했다.  

1일 부산에서 열린 미쉐린 가이드 기자 간담회 현장에서 참석자들이 패널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 미쉐린 가이드

1일 부산에서 열린 미쉐린 가이드 기자 간담회 현장에서 참석자들이 패널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 미쉐린 가이드

 
미쉐린 가이드는 1900년부터 자동차로 여행하는 운전자를 위한 다양한 레스토랑과 숙소 정보를 담은 책자를 선보이고 있다. 현재 전 세계 40개 이상의 지역 가이드가 발간되고 있다. 미쉐린 가이드에 실리는 레스토랑은 ‘요리의 수준’ ‘요리의 완벽성’ ‘조화로운 풍미’ ‘창의적 개성’ ‘일관성’ 등 표준화된 5가지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조사원들의 ‘암행’을 통해 선정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한편, 미쉐린 가이드 서울은 지난 2월 2023년 편에서 미쉐린 스타를 받은 레스토랑 35곳, 빕 구르망(1인 4만5000원 이하 맛집) 57곳 등 총 176곳의 레스토랑을 선정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