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른 더위와 전기요금 인상 등에 따른 에너지 비용 부담을 완화하고자 하절기 에너지 절약 캠페인을 시작하기로 했다.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는 7월부터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확대한다. 이 제도를 이용하면 전기사용량을 지난해 동월 대비 10% 감축 시 전기요금을 인상 전과 같은 수준으로 내면 된다.
![올해 여름 역대급 무더위가 예상되고 잇따른 전기 요금 인상으로 부담이 커지면서 고효율 가전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6/02/a94a5453-5cdf-49a9-aecd-d7034f46b889.jpg)
올해 여름 역대급 무더위가 예상되고 잇따른 전기 요금 인상으로 부담이 커지면서 고효율 가전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뉴스1]
취약계층을 대상으로는 에너지 바우처 지원 대상을 30%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지원 단가도 지난해 4만원에서 올해 4만3000원으로 인상한다. 지난해 평균 사용량인 313㎾h까지는 올해 요금 인상분 적용을 1년간 유예한다.
정부는 이와 함께 ‘국민 DR(Demand Responseㆍ에너지쉼표)’ 제도도 추진한다. 원격제어 스마트기기를 설치해 에너지 절감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h당 1600원 수준의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이런 내용의 유관기관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국민 DR 사업은 가정과 소형 점포 등 소규모 전기 사용자가 조명, 에어컨 등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에너지 절감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수요 반응제도다. ▶수급 비상 예상 시 ▶미세먼지 경보 시 ▶이상기온 발생 시 ▶적정 공급예비력 미달 시 한국전력거래소에서 국민 DR을 발령하고, 이때 전력 소비를 줄이면 보상받는다.
산업부는 올해 CU 직영 편의점 4개소, GS 더프레시 1개소 등을 시작으로 상업시설 대상 실증 사업을 추진 중이다. 효과가 검증되면 일반 편의점 점주들이 운영 중인 대리점으로도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