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오후 방과 후 교육 활동·돌봄을 제공하는 늘봄학교 시범학교인 경기 수원초등학교를 찾아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참관하고 있다. 뉴스1
다문화 학생, 10년 간 3배 늘어…“교육 강화해야”
2014년 기준 6만8000명, 전체 학생의 1.1%에 불과했던 다문화 학생은 올해 18만1000명(3.5%)으로 2.7배 늘었다. 전교생이 100명이 넘는 학교 중 다문화 학생이 30%가 넘는 ‘다문화 밀집학교’도 2019년 38개교에서 지난해 71개교로 증가했다
반면 교육 성과는 증가 추세를 따라가지 못했다. 다문화 학생의 학업중단률은 2021년 기준 초등 0.68%, 중학생 0.78%, 고등학생 2.05%로 전체 학생(초등 0.58%, 중학생 0.54%, 고등학생 1.55%)보다 높았다. 대학 진학률도 40.5%로 국민 전체(71.5%)보다 낮았다.

정근영 디자이너
한국어 집중 교육, 장학 강화…3110억 투입
학내에선 한국어학급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현재 527곳에서 내년 600여곳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방과후학교나 돌봄학교에서는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교육부가 시범사업 중인 늘봄학교에서는 다문화 특화형 모델을 운영한다. 2025년 도입되는 AI디지털교과서에는 다국어 번역 기능을 탑재한다.
다문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다문화 강점개발 정책학교’도 새롭게 운영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방학을 활용한 해외방문 프로그램, 지역 대학에서 실시하는 이중언어 캠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이중언어에 강점을 가진 학교로 운영하겠다”며 “내년에 200곳을 지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영옥 기자
행정 체계도 강화한다. 앞으로 다문화 밀집학교가 있는 지역의 교육지원청은 ‘다문화교육지원센터’를 운영해야 한다. 센터는 지역의 다양한 교육자원과 학교를 매칭하고 학부모 교육, 수업 콘텐츠 제공을 담당하는 다문화 정책의 허브가 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내년에는 공모를 통해 5개 내외 교육청이 시범운영을 한 후 2025년엔 다문화 밀집학교가 있는 전체 지역으로 확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문화 학생 실태조사와 장래추계도 진행한다. 2025년엔 본격적인 조사를 실시, 2026년에 첫 통계를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이 같은 정책 추진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초중등교육법, 유아교육법 개정을 추진한다. 예산도 내년에만 여성가족부, 교육부에서 1014억원을 투입한다. 2027년까지는 특별교부금과 보통교부금 등 3110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한편 교육부는 이날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국정 과제인 디지털 인재 양성 계획도 논의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관련 학과가 별도 정원을 추가할 수 있는 계약정원제를 도입하고, 초·중등 정보교과 교원을 확대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