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병원 외교부 차관보,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 눙룽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가 26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일중 3국 고위급회의(SOM)에서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뉴스1.
"정상회의 12월 유력"
외교부는 이날 회의 후 보도자료를 통해 "3국 정상회의를 상호 편리한 가장 빠른 시기에(at the earliest convenient time) 개최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시기를 지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정상회의 준비를 위한 3국 외교장관회의 역시 조속히(in a couple of months)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요약하면 두어달 내에 외교장관회의를 열고, 연내 정상회담 개최를 추진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외교부는 이와 관련 "3국 정부 간 협의체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세 나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향후 지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정상회의 개최 시기와 관련해 일본 민영 방송인 JNN은 "12월 18일 이후 서울에서 개최하는 안이 유력하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구체적 시기는 여러 형태로 의견 교환이 있었고, 보도된 내용만 두고 사실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연내 개최를 염두에 두고 앞으로도 3국 정상의 일정을 맞추기 위한 실무 작업을 이어갈 것"이라며 구체적 장소와 시기에 대한 3국의 협의가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정병원 외교부 차관보와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 눙룽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가 26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일중 3국 고위급회의(SOM)를 하는 모습. 뉴스1.
한ㆍ중ㆍ일 정상회의는 이명박 정부 때인 2008년부터 3국이 돌아가며 의장국을 맡아 매년 개최됐지만, 한·중, 중·일 관계 악화와 코로나19의 여파 등으로 2019년 12월 중국 청두 회의를 마지막으로 중단된 상태다. 3국 정상회의가 올해 의장국인 한국에서 열린다면 4년만에 재개되는 것으로, 이 자리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리창(李强) 중국 총리가 참석할 가능성이 크다.
사전회의는 '엑스포' 염두 부산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회의에서 최근 중ㆍ일 관계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후쿠시마 원전 방류 문제는 거론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3국의 관심 사항에 대해선 언제든지 논의할 수 있지만, 이번 회의는 실질 협력 및 미래 지향적 분야가 중점이 됐다"며 "의장국인 한국으로서는 그런 문제가 부각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외교부에서 한일중 3국 고위급회의(SOM) 대표 접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 박 장관, 눙룽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 뉴스1.
공동선언 협의도 곧 시작
그간 3국 정상회의에서는 결과물 성격인 공동선언문을 채택해 왔다. 회의 일정이 구체화되면서 3국의 구체적 문안 협의도 조만간 시작될 전망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다만 "결과물에 대해선 아직 큰 틀에서 공감대를 논의했을 뿐 문안 협의까지 이뤄진 건 아니다"라며 "북한 문제나 한반도 정세보다는 실질 협력 분야가 결과물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3국 대표들은 전날인 25일 한ㆍ일, 한ㆍ중 고위급회의 대표 간 양자 협의와 3국 부국장급 회의를 진행하며 각자의 의견을 미리 교환했다. 개별적 조율을 마친 뒤엔 박진 외교부 장관이 재차 3국 고위급 대표를 접견해 "한ㆍ일ㆍ중은 세계 인구의 20%, 세계 총생산(GDP)의 25%를 차지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3국 협력은 동북아를 넘어 세계의 평화·안정 및 번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