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표는 전날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후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했다. 의총에선 한 대표에게 “책임지고 사퇴하라”는 주장이 잇달았지만, 한 대표는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집권 여당 대표로서 국민과 함께 잘못을 바로잡고 헌법과 민주주의를 지키겠다는 말씀을 드린다. 저는 직무를 수행할 것”이라며 사퇴설을 일축했다. 그 이후로는 주말 내내 침묵을 지켰다. 다만, 주변에는 자신의 사퇴 여부와 거취 표명 시점, 당 수습책 등을 놓고 다양하게 조언을 구했다고 한다. 한 친한계 인사는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애쓴 사람에게 책임을 뒤집어씌우고 억울하게 쫓아내는 형국인 건 맞지만, 결과적으로 우리 내부에서 무너졌으니 사퇴 외엔 도리가 없다”고 말했다.
전당대회로 구성된 ‘한동훈 지도부’가 사실상 와해 위기에 처했음에도 전날까지 한 대표는 당 대표직을 수행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주변엔 “저는 아직 당대표직에서 사퇴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당헌 96조 4항에는 ‘비대위원장은 당 전국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당대표 또는 당대표 권한(또는 직무)대행이 임명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를 두고 일각에선 “한 대표가 비대위원장 임명권을 쥐고 버티기에 돌입했다”는 관측도 나왔다.
한 대표가 말을 아끼는 사이 논란은 거세졌다. 친한계 박상수 대변인은 15일 “최고위원 4인 사퇴가 당대표 사퇴나 궐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나경원 의원은 “당헌에 따라 전국위 의장은 비대위 설치를 위한 후속 조치를 지체 없이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전국위 의장인 이헌승 의원은 “비대위 설치를 위한 절차를 지체없이 진행하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권 원내대표는 16일 오후 3시 의총을 소집했다. 한 대표가 공식적으로 사퇴할 경우, 비대위 체제 전환을 비롯한 당 수습책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당 일각에서는 비대위원장으로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거론되고 있다는 얘기도 오갔다. 6선 의원을 지내며 당직을 두루 경험한 데다, 탄핵 소추된 윤 대통령과는 아무런 접점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그런 논의를 한 사실 자체가 없다”고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