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는 중앙행정기관·자치단체·교육청 등 718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매년 종합청렴도 평가를 하고 있다. 서울시는 88.1점으로 1등급을 달성했다. 지난해는 78.2점으로 3등급이었다.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청렴도 1등급을 달성한 건 서울시와 경상남도 두 곳뿐이다.
종합청렴도는 부패인식과 경험을 측정한 ‘청렴체감도’, 반부패 추진실적과 성과인 ‘청렴노력도’ 점수를 더해 등급을 매긴 후 ‘부패실태’에 대한 감점(최대 10%)을 부여해 점수를 산출한다. 여기에 부문별(광역지자체) 평균 점수와 표준편차를 활용해 종합등급(1~5등급)을 부여한다. 청렴체감도(60%)는 내ㆍ외부 부패인식과 부패경험, 청렴문화, 업무 투명성 등을 설문조사로 측정한다.
청렴노력도(40%)는 반부패청렴정책 추진체계와 시책 추진실적, 시책효과성 등 구체적인 실적을 평가한다. 서울시는 특히 올해 평가의 청렴체감도 부문에서 85.7점으로 1등급을 차지했다. 지난해 서울시 청렴체감도는 4등급(75.3점)에 그쳤다.
시는 또 민원업무를 경험한 시민에게 친절도와 신속ㆍ공정성, 불편사항 등을 전화로 조사하는 청렴 해피콜과 청렴 문자 등을 통해 시민 의견을 실제 행정처리에 반영해 시민체감도와 만족도를 높였다. 또 시는 지하철과 공공시설 등 100여 곳에서 청렴 홍보영상을 수시로 상영했다. 이외에도 서울시는 지난 7월 광역단체 중 처음으로 청렴전담조직인 ‘청렴담당관’을 발족했다. 각 부서에는 청렴서포터즈 직원을 뒀다.
박재용 서울시 감사위원장은 “청렴도 1등급 달성은 시 공직자 모두의 노력과 시민의 목소리가 반영돼 만든 성과”라며 “앞으로도 시민과 공직자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청렴문화를 확산하고 지속 가능한 청렴 정책을 추진해 서울을 신뢰와 투명성의 대표 모델로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