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의장은 앞서 5년 단임 대통령제 문제를 제기하며 대선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하고 대통령 4년 중임제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개헌 국민투표 시기는 2026년 지방선거 때를 제시했다.
우 의장은 다만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로 개헌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데 대해선 “윤 대통령의 일은 헌법이 부족해서 벌어진 일은 아니다”라고 했다. 우 의장은 “비상계엄은 (윤 대통령이) 대통령의 권한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헌법과 법률의 요건과 절차를 따지지 않은 오판”이었다며 “그래서 윤 대통령의 문제는 개헌과 꼭 관련된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우 의장은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전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국회가 가져야 하느냐’는 질문에 “헌법과 계엄법에 국회의 역할이 정리돼 있는데도 오판하는 분들이 있어서 앞으로 국회가 이 부분(계엄 선포)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확실하게 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 앞으로 그렇게 해나갈 생각”이라고 답했다.
우 의장은 이번 비상계엄 사태로 자신의 인지도가 높아진 데 대해선 “제 개인에 대한 평가라기보다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비상계엄을 2시간 반 만에 의결로 해제한 국회의원들, 그리고 국회를 감싸고 도와준 시민과 보좌진들 모두에게 드리는 국민의 관심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에서 ‘국회 토르’라는 별명이 붙은 데 대해선 “아주 재밌게 봤다. 젊은 사람들 속에 들어간 것 같아 기쁘기도 했다”고 말했다. 다만 대선 도전은 “아직 생각해본 적 없다”고 했다.
우 의장은 계엄·탄핵 사태로 저하된 국가신인도를 높이기 위해 “미국과 일본, 중국, 유럽연합(EU) 등에 국회의장 특사 형식의 의원 외교단을 구성할 것”이라며 “5∼6개 팀으로 여야가 구성에 합의했고, 함께 가는 것으로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