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현지시간) 오전 아바나 미라마르에서 이주일 외교부 중남미국장과 카를로스 페레이라 쿠바 외교부 양자총국장이 각각 정부 대표로 참석한 가운데 개관식이 열렸다.
쿠바는 한국의 193번째 수교국이다. 한국은 쿠바와의 수교로 시리아 외에 모든 유엔 회원국과 수교를 이뤘다.
외교부는 "주쿠바 한국 대사관 개관을 통해 쿠바에 거주하거나 방문하는 국민에 영사 서비스 제공이 원활해지고, 재외국민 보호도 한층 강화되는 등 편익이 증가할 것"이라며 "이는 양국 국민 교류 확대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쿠바에는 교민 약 30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날 개관식에는 이호열 주쿠바 대사 내정자도 참석했다. 이 내정자는 쿠바 정부로부터 아그레망(외교 사절에 대한 주재국 동의)을 이미 받아 조만간 정식 부임할 것으로 보인다.
이 내정자는 외교부에서 자유무역협정(FTA) 등 통상 업무를 다룬 경험이 풍부하고, 국제경제국 심의관을 지냈다. 초대 대사로 그를 발탁한 건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한류가 널리 확산한 쿠바와의 경제 협력 잠재성을 고려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앞서 서울에 부임한 클라우디오 라울 몬손 바에사 초대 주한 쿠바 대사는 지난 7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신임장을 제정했다. 쿠바 측은 올해 상반기에 주한 쿠바 대사관의 문을 열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한국과 쿠바가 빠르게 상호 대사관 개설에 속도를 내고 초대 대사가 부임·내정하는 상황을 쿠바의 오랜 '형제국'인 북한은 강하게 경계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 13일 기자들과 만나 "(최근 한·쿠바 관계 관련 북한의 부정적 반응을) 접수하거나 알고 있는 바는 없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2월 한국과 쿠바가 극비리에 물밑 접촉을 이어온 끝에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했다"고 전격 발표하자 북한은 적잖이 당황했다. 한·쿠바 수교 이후 관영 매체 보도에서 쿠바에 대한 언급을 의도적으로 피하거나 축소하는 식으로 줄곧 불편한 기색을 이어왔다. 일례로 지난 1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대통령에게 새해 축전을 보냈다고 보도했는데, 축전 분량은 한 문장에 불과했고 "형제적 쿠바 인민" 등 양국 관계를 치켜세우는 수사는 이전과 비교해 모두 사라졌다.
다만 이제 막 첫발을 뗀 한·쿠바 관계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출렁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쿠바는 트럼프 1기 시절 강도 높은 제재와 코로나19 봉쇄로 인해 극심한 경제난을 겪었다. 게다가 트럼프 2기 신임 국무장관으로 내정된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쿠바의 공산주의에 강한 반감을 느끼고 미국으로 온 이민자의 아들이다. 그는 지난해 2월 한·쿠바 수교에 대해 미국의소리(VOA)에 "한국이 북한의 공격을 오랫동안 도와 온 쿠바의 범죄 정권과 외교관계를 맺은 것이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쿠바가 북한과의 '의리' 대신 한국과 수교라는 '실리'를 택한 이유도 향후 미국과 관계 개선을 위한 협상에서 미국의 핵심 동맹인 한국의 지원을 염두에 둔 행보라는 해석이 나왔다. 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이미 쿠바에 대한 고강도 제재를 예고하면서 한국과 쿠바의 협력 역시 일정 부분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제재에 저촉받지 않는 관광 산업이나 기후변화 대응 등에선 양국이 협력할 여지가 상당하다는 분석이다.